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이 22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정은경 신임 보건복지부 장관이 "'국민과 의료계가 모두 공감할 수 있는 국민중심 의료개혁'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재명 정부의 첫 복지부 장관으로 임명된 정 장관은 22일 취임사에서 "국민에게 필요한 진료를 적시에 제공하고 보건의료체계의 지속 가능성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정 장관은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돌봄 국가책임 강화 △국민 중심 보건의료체계 구축 △보건복지 강국 도약의 기반 마련 등 4대 핵심 과제를 제시했다.
정 장관은 "아동수당의 점진적 확대, 국민·기초연금 제도 내실화 등을 통해 아이부터 어르신까지 생애주기별 소득보장체계를 확립하겠다"며 "최후의 사회안전망인 기초생활보장제도를 강화하는 한편, '아프면 쉴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상병수당 확대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또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계신 어르신 등이 살던 곳에서 건강한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의료·요양·돌봄 통합지원 서비스를 전국으로 확대·제공하겠다"며 "요양병원 간병비에 건강보험을 단계적으로 적용해, 간병에 대한 공적 책임을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울의 한 의과대학 모습. 류영주 기자의정 갈등과 관련해서는 "의료인력 수급추계위원회를 도입해 적정인력 규모에 대한 과학적인 추계를 시행할 것"이라며 "지역·필수·공공 의료인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충분한 보상도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국립대병원 업무를 복지부로 이관해 지역 내 공공·필수의료 컨트롤타워로 육성할 것"이라며 "지역사회에 기반한 일차의료체계를 구축하고, 희귀·난치성 질환자의 의료비 부담을 완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서는 "18년 만의 연금개혁이 더욱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다층 노후소득보장체계 구축 등 국회 연금개혁특위 논의에 적극 참여·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