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9월 21일 사상~하단선 공사현장에서 대형 땅 꺼짐이 발생해 차량 2대가 빠졌다. 부산소방재난본부 제공부산시가 땅 꺼짐 현상이 연이어 발생한 도시철도 사상~하단선 공사 구간에 대한 도로지반침하 특별대책을 마무리했다.
시는 앞으로 지반침하 전담 부서를 신설하고, 시민 제보 시스템을 구축하는 한편 지반침하 관리 지역을 시 전역으로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시는 땅 꺼짐 특별대책 상설 전담팀을 구성해 사상~하단선 공사 구간 일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특별대책 주요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시는 먼저, 침수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공사 구간 일대 측구와 우수박스 3615m에 하수관로를 준설하고 감전1·2중천과 감전천 유입부 1540m에 대한 하천 준설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어 하수관로 내부 3215m에는 영상정보처리기기(CCTV)를 활용한 정밀조사를 통해 보수가 필요한 17곳을 확인했다. 시는 이 중 16곳은 정비를 마쳤고 나머지 한 곳은 이달 말까지 정비할 계획이다.
장마철 집중호우에 대비해 사상~하단선 공사구간에 양수기 60대를 두고 24시간 현장 상주인력을 배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시는 이와 추가 땅 꺼짐을 막기 위해 지반에 작은 구멍을 뚫어 내부를 확인한 뒤 의심구간에는 빈 공간을 메우는 그라우팅 작업을 실시했다.
시추 작업은 새벽시장 일원과 동서고가로 구간 74공에 이어 새벽로 전 구간을 대상으로 53곳을 실시하는 등 모두 127공을 완료했다. 이후 땅 꺼짐 우려가 제기된 10곳에 대해 현장 굴착 조사를 통해 공동이 의심되는 2곳을 보강했다.
시가 지반에 작은 구멍을 뚫어 내부를 확인한 뒤 의심구간에는 빈 공간을 메우는 그라우팅 작업을 실시했다. 부산시 제공 시는 시추 작업과 함께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이상 현상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시는 GPR 탐사 결과를 이달 말 부산시 홈페이지에 공개할 예정이다.
시는 앞으로 지반침하 관리 지역을 부산 전역으로 확대하고, 오는 8월에는 도로안전과를 신설해 체계적인 지하안전 관리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시는 올해 우선등급 지반탐사 구간을 139km에서 368km로 확대하고, 구·군에서 선정한 고위험구간 탐사와 사상~하단선, 북항 지하차도 등 대형 굴착사업장 점검을 병행하기로 했다.
또, 현재 3대인 GPR 탐사 차량을 1대 추가로 도입하는 한편 전문 인력을 확충해 탐사 역량을 강화할 방침이다.
시는 특히, 땅 꺼짐과 관련한 시민 제보를 활성화하기 위해 일정 기준 이상의 지반 침하를 신고한 시민에게 포상을 지급하는 제도를 검토하고 있다.
이준승 시 행정부시장은 "지반침하를 비롯해 시민의 일상에 영향을 미치는 재난에 빈틈없이 대비하겠다"며 "끝까지 현장을 살피고 필요한 조치를 빠짐없이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도시철도 사상~하단선 공사 현장 일대에서는 지난해부터 모두 14차례에 걸쳐 크고 작은 땅 꺼짐 현상이 발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