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훈 경남교육감이 25일 취임 11주년 기자간담회에서 질의에 답변을 하고 있다. 경남교육청 제공박종훈 경남교육감이 남은 임기 동안 지역사회 기반 교육 모델을 완성하는 데 전념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박 교육감은 25일 경남교육청에서 취임 11주년 기자간담회에서 '경남교육이 경상남도의 미래입니다'라는 메시지와 11년 성과, 지역사회 기반 교육 모델을 완성하기 위한 4대 핵심 과제를 발표했다.
박 교육감은 우선 '행복학교' 도입을 통한 수업 혁신, 무상교육을 비롯한 포용적인 공교육 모델 구축, 거점통합돌봄센터 '늘봄'과 마을·지역 맞춤형 돌봄을 취임 11년의 성과로 평가했다.
박 교육감은 "사회·경제적 불평등과 이에 따른 교육 격차, 수도권 집중화, 미래세대를 위협하는 기후 위기, 그리고 무엇보다 저출생에 따른 인구 감소와 지역 소멸은 우리의 절박한 문제"라면서 "경남교육은 교육으로 지속 가능한 지역사회를 만들고 다시 지역사회를 통해 교육을 더 풍요롭게 하겠다"고 말했다.
박 교육감은 그러면서 남은 임기 동안 경남형 공동학교로 공유교육의 표준 제시, 지역사회가 함께하는 맞춤형 돌봄 체계 구축, 지역사회 기반 교육 미래교육지구 강화, 지역사회 인적 자원을 활용하는 학교 예술강사 사업 활성화 등 지역사회 기반 교육 모델을 완성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도 했다.
경남교육청은 학생 수 감소와 지역 소멸에 대응하기 위해 '경남형 공동학교'를 운영 중이다. 의령에서 시작한 공유교육은 현재 10개 시군으로 확대됐으며 학사 일정·체험 활동·방과 후 프로그램을 공동 설계하고 있다. 또 전국 최초 교육청 주도의 거점통합돌봄센터 '늘봄'을 운영 중이며 올해는 지자체와의 협력을 통해 남해 '아이빛터'와 밀양 '다봄'을 개소했다.
경남교육청은 또 학교와 마을이 함께 아이를 키우는 미래교육지구 사업을 도내 전 지역으로 확대해 왔다. 이와 관련해 최근 관련 조례 폐지와 예산 전액 삭감으로 운영에 차질을 빚자 경남교육청은 추경을 통해 관련 예산을 반영하고 도의회의 협조를 요청할 계획이다. 경남교육청은 이와 함께 예술교육이 아이들의 정서, 창의력, 학교 적응력 향상에 핵심이라고 보고 지역 예술인과 함께 학교 예술강사 사업도 확대하고 있다.
박종훈 교육감은 "남은 임기 동안 교육의 본질을 지키고 지역과 함께하는 교육 생태계를 완성하는 데 모든 역량을 다하겠다"며 도민과 교육 공동체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지를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