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묘정 창원시의원. 창원시의회 제공창원시의회 김묘정(팔룡, 의창동) 의원이 시의회 시정질문에서 창원시 복지시설 공공 위탁의 당위성과, 창원복지재단의 역할에 대해 짚었다.
김 의원은 23일 열린 제144회 정례회 제3차 본회의 시정질문에서 창원복지재단에서 수탁 운영 중인 일부 시설에 대해 근거가 미비함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위탁운영을 맡기는 이유를 따졌다. 사회복지시설 운영 외에 기타 복지시설은 민간의 영역으로 민간 위탁운영이 타당하다고 강조했다. 창원복지재단은 23년을 기점으로 수탁시설이 점차 늘어나 정량적 평가에만 치중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취지다.
또, 노인복지관 경로식당 식수 인원의 과다 수용과 종사자 부족으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점을 제시했고, 이에 따라 창원시의 조속한 대책 마련을 촉구 했다.
김 의원은 특정 업체의 용역 계약 건에 대해서도 사유를 물었다. 24년, 25년 행정사무 감사 과정에서 특정 업체의 계약 건수에 대해 의혹이 드러났고, 공공의 일은 업체의 능력, 경력 등 다양한 검토가 부족했다는 취지다.
이에 창원시 관계자는 "공정하고 여러 업체가 번갈아 계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 답했다.
또, 김 의원은 새 정부의 과제와 합을 맞추어 창원시에서 국립현대미술관 분관 설립 추진을 당부했고, 대한민국민주주의전당 개관과 관련해 전시내용이 부실하다는 점과 자문위원 위촉에 대해 재검토를 요구했다.
이에 장금용 창원시장 권한대행은 "이 부분은 숙의 과정과 시민공감대 형성이 필요한 부분이라 검토해야 할 사항"이라고 답했다.
아울러 지난해 9월 137회 임시회에서 시정질문을 통해 지적했던 레저세 개선과 관련한 창원시의 노력에 대해 물었다. 정부와 국회에 '지방세 징수법' 법안 개정을 위해 노력을 해야 한다는 취지다.
이에 창원시장 권한대행은 "시가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어떻게 해서든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끝으로 김 의원은 신병철 감사관에게 "감사관은 민선 8기 들어 7개 대형사업에 대한 감사를 했지만, 3년 내내 소득 없이 마무리한 것 아니냐"며 질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