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범규 기자성희롱 논란으로 해체된 충북청주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충북청주경실련)이 재건 전부터 내홍에 휩싸이며 와해되는 분위기다.
재창립을 추진하는 집행부와 전직 임원 간 갈등이 고조되면서 결국 2개 단체로 갈라설 조짐이다.
'충북청주경실련의 대안 시민단체 창립추진 준비위원회'는 22일 오후 청주 육거리종합시장에서 창립발기인 대회를 열었다.
발기인 명단에는 전 임원과 회원 등 200여 명이 이름을 올렸다. 시민단체 이름은 가칭 '공정한 세상'이다.
이들은 조만간 창립총회를 열고 사회단체로 본격 활동에 나설 예정이다.
이들의 시민단체 창립 추진은 충북청주경실련에서 '청주경실련'으로 이름을 바꿔 재창립 절차를 밟고 있는 전 집행부에 대응하는 차원이다.
청주경실련은 내년 2월 중앙경실련 최종 승인을 앞두고 있다.
충북청주경실련 전 임원들은 재창립 과정에서 성희롱 사건 당시 임원들이 물러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청주경실련이 이 제안을 거부하고, 별다른 소통도 하지 않아 대안 시민단체를 구성하게 됐다는 게 이들의 설명이다.
위원회는 "재창립을 주도하고 있는 사건 당시 집행부는 다른 회원들에게 재창립 진행 상황을 공유하지 않았고, 창립발기인 명단과 회의록도 공개하지 않았다"며 "한때 몸담았던 단체의 올바른 재창립을 위해 서로를 존중·배려하는 대안 단체를 새로 창립한다"고 밝혔다.
청주경실련은 이들의 대안 단체 추진에 강한 불쾌감을 드러내고 있다.
청주경실련은 특정 세력이 정통성을 폄훼하는 분란을 일으켜 주도권을 차지하려는 의도로 보고, 중앙경실련의 승인 절차를 밟아 재창립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지난 2020년 충북청주경실련에서는 한 여성 직원이 남성 직원들 사이의 대화를 듣고 성적 불쾌감을 느꼈다면서 문제를 제기했다.
중앙경실련은 충북청주경실련을 사고지부로 지정한데 이어 성희롱 피해를 제기한 직원 2명을 포함해 모든 직원을 해고했다.
피해를 제기한 직원은 해고 무효 확인 소송에 나섰지만, 지난해 3월 대법원에서 원고 패소 판결이 확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