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휘성 사망 더 마음 아프다"…예일대 나종호 교수 한탄 왜?

"휘성 사망 더 마음 아프다"…예일대 나종호 교수 한탄 왜?

가수 고(故) 휘성. 리얼슬로우컴퍼니 제공가수 고(故) 휘성. 리얼슬로우컴퍼니 제공
가수 휘성(43·본명 최휘성)의 갑작스런 사망 비보에 나종호 미국 예일대학교 의과대학 정신의학과 조교수가 안타까운 심경을 전하면서 국내 약물 재활 시설의 태부족 현실을 비판했다.

나종호 교수는 10일 SNS에 올린 글에서 "휘성씨의 노래를 참 좋아했다. 앨범을 수도 없이 반복해서 듣곤 했다"며 "동시대를 살아간 예술인들을 잃어가는 일들은 나이가 들면서 피할 수 없는 과정인 것 같지만 일찍, 안타깝게 세상을 떠난 경우는 더 마음이 아픈 것 같다. 고인의 명복을 빈다"고 전했다.

앞서 휘성은 이날 저녁 6시 29분쯤 서울 광진구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경찰은 타살 혐의점이 없는 것으로 보고 있으나, 정확한 사인 규명을 위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부검을 의뢰할 예정이다.

나 교수는 "고인의 사망 원인이 명확히 밝혀진 상황은 아니나, 약물 과복용은 제가 가장 관심을 갖는 연구 분야라 더 마음이 아프다"며 "몇 년째 중독 재활시설에 더 많은 예산을 보장해야 한다고 줄기차게 외쳐왔는데 이뤄지지 않으니, 도대체 어떻게 해야 변화가 생길까"라고 토로했다.

생전 휘성은 오랜 기간 약물 문제로 힘들어했다. 고인은 2021년 10월 수면마취제인 프로포폴을 상습 투약한 혐의(마약류관리법 위반)로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 앞서 2018년 7월에는 졸피뎀 투약 혐의로 기소유예를, 2020년 3월과 4월에도 수면유도 마취제인 에토미데이트를 맞고 의식을 잃은 채 발견됐다.

나 교수는 이튿날인 11일 SNS에 올린 글을 통해 "중독의 끝은 죽음이 아니"라며 "약물·알코올 중독은 물론 무서운 병이지만, 중독 정신과 의사로 일하면서 다시 일상을 회복하고 행복을 되찾은 환자들을 매일 만난다"고 했다.

특히 "문제는 중독 환자들이 치료받을 수 있는 병원과 재활시설이 터무니없이 부족하다는 점"이라며 "처벌 일변도의 마약 정책으로는 이미 일상 속에 스며든 마약 문제를 막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처벌과 치료·재활이 함께 가야 유의미한 변화가 보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3

2

전체 댓글 0

새로고침

    제 21대 대통령 선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