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창원국가산단, 지난해 생산액 62조 원…"미래산단으로 도약"

창원국가산단, 지난해 생산액 62조 원…"미래산단으로 도약"

2023년에 처음 60조 원대 돌파한 상승세 이어가…전국 38개 국가산단 중 4위 기록
입주업체 수는 처음으로 3천 개사 넘어…수출액, 입주업체 수, 고용인원도 전국 상위권

창원국가산단 전경. 창원시 제공창원국가산단 전경. 창원시 제공
창원국가산단이 지난해 생산액 62조 원을 기록했다. 산단은 2023년에 처음 60조 원대를 돌파한 상승세를 이어가며 최고 기록을 새로 썼다.
 
최근 한국산업단지공단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창원국가산단의 생산액은 2019년에 39조 원으로 2010년대 들어 최저점을 기록한 이후 조금씩 회복세를 타면서 2023년엔 사상 처음으로 생산액 60조 원대를 기록했다. 이어 2024년에는 62조 원을 넘어섰다.
 
입주업체 수도 처음으로 3000개사를 돌파했다. 입주업체 수는 3216개사로 1974년 24개사가 산단에 첫 입주한 이후 50년 만이다. 산단에는 1978년에 122개사 입주했으며, 2000년 1천개사, 2010년 2천개사를 넘어선 지 14년 만에 3천개사 입주 시대를 열었다.
 
창원국가산단의 2024년 생산액은 62조 2230억 원, 수출액은 184억 2900만 달러를 기록했고, 고용은 12만 289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국의 38개 국가산단 중 생산액은 4위, 수출액과 입주업체수는 5위, 고용인원은 3위 기록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전국의 국가산단 생산액 중 창원국가산단의 주요 업종이 차지하는 비중은 기계류 1위(약 27%), 전기전자 2위(약 17%), 운송장비 2위(약 13%)를 보였다.

창원 AI 자율제조 전담지원센터 조감도. 창원시 제공창원 AI 자율제조 전담지원센터 조감도. 창원시 제공 
시는 이런 기세를 이어가기 위해 창원국가산단을 디지털과 문화를 입혀 지속 가능한 산단으로 탈바꿈시킨다. 인공지능 기반의 자율 제조 확산과 디지털 전환을 서둘러, 기업의 경쟁력을 더할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고, '워라밸' 공간 창출로 청년이 선호하는 일터로 만들어갈 계획이다.
 
공간을 채울 핵심 콘텐츠들도 함께 준비하고 있다. 경남의 단일 연구개발(R&D) 프로젝트 사상 최대 규모(총 사업비 5천억 원)로 최첨단 공동 연구시설인 중성자 복합빔 조사시설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한다. 또, 창원 AI 자율제조 전담지원센터와 드론 제조 국산화 특화단지 조성을 본격화하여 미래형 제조업으로의 혁신을 견인할 예정이다.
 
미래형 인재 양성을 위해 경남도와 함께 이노베이션 아카데미를 유치해 제조업의 AX(인공지능 전환)을 선도할 청년 소프트웨어 전문인력을 양성한다. 또, 국립창원대의 '글로컬대학' 운영을 지원하고, 경남대도 추가로 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창원국가산단의 혁신을 이끌 인재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홍남표 시장은 "창원국가산단은 기계 산업을 바탕으로 하는 조선, 방산, 자동차, 전자 등 산업이 꽃피우고 있고, 원전 산업 수출이 가시화된다면 더 큰 성과를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라며, "우리나라의 근대화와 산업화를 견인한 창원국가산단이 미래 50년에도 창원 경제와 우리나라 경제를 이끌어 갈 수 있도록 기반 마련과 기업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