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지난 1분기 저축은행의 중금리대출이 40% 급감했다. 서민들의 돈 빌리기가 어려웠다는 반증이다.
중금리 대출은 금융회사가 신용 하위 50%인 차주에게 일정 수준 이하의 금리로 공급하는 신용대출을 말한다.
14일 저축은행중앙회 소비자포털에 따르면 1분기 저축은행 민간 중금리 신용대출(사잇돌 대출 제외) 취급액은 1조6천685억원으로 전년 동기 2조7천595억원보다 39.5% 감소했다.
취급 건수도 14만6천683건에서 11만516건으로 3만6천건 감소하고, 대출 실행 저축은행 수도 33개사에서 30개사로 줄었다.
이같이 중금리 대출 규모가 큰 폭으로 축소된 배경으로 저축은행업계는 대출금리 상승을 꼽았다.
신용점수가 601~700점인 대출자가 올해 1분기 민간 중금리 대출을 이용하고 적용받은 금리는 평균 15.47%였다. 지난해 1분기 14.10%와 비교해 금리가 1.37%포인트 상승한 것이다.
시장금리가 지난 1분기까지는 기준금리 인상의 여파로 오르는 추세였고, 자금 조달 경쟁자인 은행권이 공격적으로 예금(수신) 금리를 인상하면서 조달 비용이 늘었다는 설명이다.
또한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1분기 평균 연체율이 5.1%로 지난해 같은 기간 3.5%보다 높아지며 건전성 지표가 악화된 것도 한 요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저축은행들이 건전성 관리를 위해 금리를 무리하게 낮추지 않고 대출 공급을 줄인 측면도 있다는 얘기다.
저축은행이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금융상품인 햇살론의 1분기 조달 금리도 올랐다.
저축은행중앙회 소비자포털에 따르면 1분기 취급분 햇살론의 조달 금리는 5.57%로 지난해 동기 2.42%와 비교해 두배 이상 급증했다.
햇살론이 연 소득 3천500만원 이하이거나 신용점수가 하위 20%에 해당하면서 연 소득 4천500만원 이하인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대출하는 정책금융상품인점을 감안하면 서민들의 부담 가중이 예상되는 부분이다.
다만 저축은행업계는 중금리대출과 햇살론의 금리가 2분기에는 다소 떨어져 대출 여건이 나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시장금리가 안정되고 있는데 따른 것으로 실제 4월의 경우 햇살론 조달금리는 4.14%까지 1%포인트 이상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