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IBS "탄소중립 놓치면 2150년엔 해수면 1.4m↑"



대전

    IBS "탄소중립 놓치면 2150년엔 해수면 1.4m↑"

    세계 10억 인구 해발 10m 아래 거주…지구 온난화, 세계적 재난
    빙상↔해양↔대기, 상호 영향 '새 기후모델 적용'…탄소 감축하면 20cm 상승

    온실 가스 배출을 강력히 제한한 시나리오(SSP1-1.9, 파란색)에 따르면 2150년 해수면은 20cm, 상승한다. 온실가스 배출을 중간 제한한 시나리오(SSP2-4.5, 분홍색)에 따르면 해수면은 50cm 상승한다. 온실가스 배출을 거의 제한하지 않은 고탄소 시나리오(SSP5-8.5, 빨간색)에 따르면 해수면은 140cm 상승한다. IBS제공온실 가스 배출을 강력히 제한한 시나리오(SSP1-1.9, 파란색)에 따르면 2150년 해수면은 20cm, 상승한다. 온실가스 배출을 중간 제한한 시나리오(SSP2-4.5, 분홍색)에 따르면 해수면은 50cm 상승한다. 온실가스 배출을 거의 제한하지 않은 고탄소 시나리오(SSP5-8.5, 빨간색)에 따르면 해수면은 140cm 상승한다. IBS제공탄소중립을 놓치면 2150년에는 해수면이 1.4m 상승할 것이란 예측이 나왔다.
     
    빙상만을 고려했던 기존 예측과 달리 해양과 대기 등까지 포함한 새로운 기후모델을 적용한 결과다. 
     
    세계 10억 명이 해발 10m 아래 저지대에 살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지구 온난화가 세계적 재난이 될 수 있다는 우려다. 
     
    기초과학연구원(원장 노도영, IBS) 악셀 팀머만 기후물리 연구단장(부산대 석학교수) 연구팀은 남극과 북극의 빙상과 빙산, 빙붕 뿐 아니라 해양과 대기 등 기후 요소를 결합한 새로운 기후 모델을 개발했다. 
     
    교신저자인 박준영 IBS 학생연구원은 "남·북극 빙상의 변화를 모의(시뮬레이션)한 기존 모델들은 대부분 빙상의 변화가 해양에 영향을 미치고, 이 영향이 대기와 빙상의 또 다른 변화를 야기하는 상호작용을 반영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새로운 모델을 적용한 결과 산업화로 이산화탄소 배출이 계속 늘어나는 고탄소 시나리오에서는 빙상 소실에 의해 2150년 해수면이 지금보다 1.4m 더 상승할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2050년에 탄소중립에 도달하는 저탄소 시나리오에서는 2150년 해수면이 20cm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준이 IBS연구위원(부순대 부교수)은 "이번 연구에 포함된 기후 요소 외 바닷물의 열팽창과 강물 유입 등 다른 기후 요소까지 고려한다면 해수면 상승폭은 더 커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연구진은 지구 온도가 산업화 이전보다 1.8℃ 이상 상승할 경우 돌이킬 수 없는 빙상 붕괴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다. 2060년 이전에는 탄소 순 배출량을 0(탄소중립)에 도달해야만 해수면의 급격한 변화를 막을 수 있다는 의미다. 
     
    악셀 팀머만 단장은 "더 현실적인 예측을 위해서는 각각의 기후 요소와 각 요소간 상호작용을 더 확실하게 반영할 수 있는 복합적인 지구 시스템 모델 개발이 필요하다"며 "모든 기후 요소를 결합한 모델로, 더 높은 공간 해상도에서 빙상과 해수면 변화를 모의하는 후속 연구를 계획 중"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2월15일(한국시간) 국제학술지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IF 17.694)'에 게재됐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