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 레고랜드 테마파크 전경. 연합뉴스정부가 지난달 '50조원+α' 규모의 긴급 시장안정대책을 내놓은 후에도 자금시장 경색이 좀처럼 해소되지 않는 모습이다. 시장에서는 그 주된 배경으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유동화기업어음(ABCP)을 지목하고 있다.
최근 자본시장의 발달로 부동산 개발사업은 금융기관 대출보다는 증권 발행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직접금융 비중이 늘고 있다. 부동산 PF란 장기간 대규모 사업자금을 필요로 하는 부동산 개발업자에게 소요 자금을 제공하는 금융 기법이다.
부동산 개발업자가 증권을 발행하려면 믿을만한 외부 기관의 신용 보강이 요구되는데 주로 증권사나 건설사가 이 역할을 맡았다. 현재 증권사가 신용보강을 한 PF 유동화어음 잔액은 20조2천867억원으로, 전체 PF ABCP 발행액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그런데 금리인상기를 맞아 유동성에 타격이 큰 가운데 강원도 레고랜드 사태는 PF ABCP 시장에 직격탄을 날렸다. 지방자치단체가 보증을 선 PF ABCP마저 불안하다는 인식이 퍼지자 증권사나 건설사가 보증을 선 ABCP도 기피하며 불안감이 눈덩이처럼 불어난 것이다.
춘천 레고랜드. 연합뉴스채권시장과 자금시장까지 경색되며 시장의 불안심리가 심각해지자 정부는 지난달 23일 비상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50조원 이상의 유동성 공급 프로그램을 가동하겠다고 밝히며 긴급 진화에 나섰다. 채권시장안정펀드(채안펀드) 20조원, 회사채·CP 매입 프로그램 16조원, 유동성 부족 증권사 지원 3조원, 주택사업자 보증지원 등이 주요 내용이었다.
정부 대책으로 채권시장은 사정이 좀 나아졌지만, 단기자금시장은 경색 국면이 좀처럼 해소되지 않는 분위기다.
대체로 PF ABCP 시장의 경색을 시작으로 단기자금시장 전반의 교란 상태가 벌어지고 있다는 진단이 나온다. PF ABCP는 통상 만기가 1~3개월로 짧은 편이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신규 어음을 발행해 기존 어음을 갚는 식(차환 발행)으로 만기를 연장해야 한다.
그런데 대형 증권사가 보증한 A1등급의 PF ABCP는 증권사들이 직접 어음 인수에 나섰지만, 중소형 증권사가 보증한 이외 PF ABCP의 경우 직접 떠안는데 한계가 있다. 이 때문에 중소형사가 보증한 A2 등급 ABCP의 시장 차환 어려움이 증권사들의 유동성 애로 및 증권사 CP의 높은 가산금리로 연결되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증권사 보증 PF ABCP 중 A2 등급 발행잔액은 약 1조5천억원으로 전체 발행 물량 대비 크지 않은 편이다.
이런 가운데 금융당국은 지난 11일 PF ABCP경색 해소에 집중한 추가 지원방안을 내놨다. 대형 증권사 9곳이 출연해 만든 이른바 '제2채안펀드'에 산업은행과 한국증권금융이 자금을 보태 총 1조8천억원의 자금을 조성, A2 등급 PF 유동화증권을 우선 매입키로 하는 내용이다. 지원 규모는 A2 등급 PF ABCP 잔액(1조5천억원)을 웃돈다. '사각지대'에 주목해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요지다.
건설사 보증 PF ABCP도 기존 산은·신보의 CP 매입 프로그램을 활용, A2 등급까지 포함해 1조원 이상 규모로 지원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