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성무 창원시장이 김주열 열사 시신인양지에 참배하고 있다. 창원시 제공4·19혁명의 도화선이 된 김주열 열사 추모식이 11일 김주열열사 시신인양지에서 (사)김주열열사기념사업회 주관으로 열렸다. 하지만, 3·15의거기념사업회를 비롯한 관련 단체들은 '4·11 민주항쟁'이란 명칭을 문제 삼아 또다시 갈등을 예고했다.
이날 추모식에는 허성무 창원특례시장, 백남해 김주열열사기념사업회장과 회원, 남원 김주열열사기념사업회장, 용마고등학교 학생 등이 참석해 열사의 숭고한 희생을 기렸다.
추모식은 추모공연, 추모사, 기념사 등 순서로 진행됐다. 참석자들은 김주열 열사의 숭고한 정신과 민주주의를 위해 희생된 열사들의 정신을 계승시켜나가자고 다짐했다.
김주열 열사는 1960년 '3·15의거'에 참석해 실종됐다가 27일 만인 4월 11일 마산 앞바다에서 눈에 최루탄이 박힌 참혹한 모습으로 발견돼 4·19혁명의 도화선이 됐고, 독재정권의 막을 내리게 했다.
시는 김주열열사의 숭고한 희생을 기념하고자 해마다 마산중앙부두에서 개최하는 추모식을 지원하고 있다. 2019년부터 민주화유적지로는 최초로 경남도문화재로 지정된 '김주열열사 시신인양지'의 환경정비 사업을 추진해 지난해 추모의 벽과 열사의 동상을 설치하고 제막했다.
허성무 창원특례시장은 추모사에서 "'김주열열사 시신인양지'와 오는 13일 착공하는 '창원 민주주의전당'으로 인해 창원특례시는 민주성지로서 전국에 명성을 떨칠 것이며 민주발전의 구심점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김주열 열사 추모공원. 창원시 제공하지만, 이날 3·15의거기념사업회를 비롯한 3·15의거 관련 단체들은 공개질의서를 보내 추모식을 지원한 경남도와 창원시에 항의했다.
기념사업회는 질의서에서 "역사 왜곡 명칭인 '4·11 민주항쟁' 표현을 쓰는 기념식에 경남도와 창원시가 지원하는 게 맞냐"며 "정부와 국회에서 3.15의거를 1960년 3월 15일부터 4월 13일까지 마산에서 일어난 의거라고 규정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4·11 민주항쟁이라는 자의적 용어 사용은 상식에 도전하는 역사적 폭거"라고 지적했다.
또, "지난해 김주열 열사 동상 표지석에도 결국 4·11 민주항쟁이라는 표현을 삭제했는데 행정지원은 계속하는 이유 무엇인가"라고 따졌다. 앞서, 김주열열사기념사업회와 3·15의거기념사업회는 지난해에도 김주열 열사 시신인양지 동상 옆 부조벽 문구에 새겨진 '4·11 민주항쟁'이라는 명칭을 두고 갈등을 빚다, 4·11 민주항쟁이 삭제된 후인 10월 25일에야 겨우 제막식이 열렸다.
김영만 김주열기념사업회 상임고문은 "지난 2008년부터 4·11 민주항쟁이라는 용어를 써왔는데 지난해부터 갑자기 문제제기를 하는 이유를 모르겠다"며 "3·15의거기념사업회와 대화는 하겠지만, 4·11 민주항쟁 용어 자체는 문제되지 않는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