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유엔 제네바·빈 서버 수십대 지난해 여름 해킹 당해



유럽/러시아

    유엔 제네바·빈 서버 수십대 지난해 여름 해킹 당해

    중요 자료유출 우려

    유엔(사진=연합뉴스)

     

    유엔 서버 수십대가 지난해 여름 해커들로부터 해킹을 당한 것으로 드러나 사이버 첩보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29일(현지시간) AF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유엔은 스위스 제네바와 오스트리아 빈에 있는 유엔 서버 수십 대가 지난해 여름 해킹된 사실을 인정했다.

    유엔은 '새로운 인도주의'라는 단체가 이같은 내용의 유엔 기밀 보고서를 입수했다고 밝히자 이를 확인했다.

    이 보고서는 유엔 정보기술국이 지난해 9월 20일 작성한 것으로, 유엔 서버 42대가 해킹으로 악영향을 받았고 다른 서버 25대도 같은 피해가 의심스러운 상태라고 밝혔다.

    공격을 당한 유엔 산하 국제기구 가운데는 전 세계에서 인권 유린에 대한 자료를 수집해온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도 포함됐다.

    인권 관련 기구의 서버 가운데 해킹 피해를 본 건 3대로 알려졌으나 OHCHR은 "민감한 자료나 기밀 정보는 없었다"고 밝혔다.

    '새로운 인도주의'는 해커들의 이번 사이버 공격을 "국제기구에 영향을 미친 가장 큰 공격 중 하나"라며 중요 자료 유출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

    (일러스트=연합뉴스)

     

    이와관련해 유엔의 스테판 두자릭 대변인은 미국 뉴욕에서 기자들과 만나 유엔이 지난해 중순 사이버 공격의 표적이었다고 인정하면서 "특정 공격과 관련한 피해는 막았으며 추가적인 조처를 시행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유엔은 매일 여러 공격에 대응하고 있다"면서 "이번 공격이 획기적인 사건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유엔은 직원들에게조차 사이버 공격 사실을 알리지 않아 논란이 일고 있다.

    한 유엔 관리는 "이번 사이버 공격의 수법이 정교한 것처럼 보인다"면서 "특정 국가가 배후에 있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

    한 정보보안 전문가는 "이번 침투는 분명히 첩보 행위로 보인다"면서도 "네트워크 로그 기록을 말끔히 지운 것으로 볼 때 미국, 러시아, 중국 요원들의 소행은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이번 유엔 해킹 사태는 사우디아라비아 정부의 해킹 의혹이 불거지면서 사이버 첩보전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는 가운데 드러나면서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