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제주 그랜드호텔이 '메종글래드'로 바뀐 이유 알고보니

제주 그랜드호텔이 '메종글래드'로 바뀐 이유 알고보니

대림그룹 총수 일가 브랜드 바꾸고 수수료 31억 챙겨…공정위 적발

 

관광제주의 성장과 발을 맞춰왔다고 해도 과장이 아닌 '그랜드호텔'이 이름을 바꾼 데 대림그룹 총수 일가의 탐욕이 뻗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1980년 영업을 시작한 당시 '그랜드호텔'은 제주관광을 이끌어온 대표 호텔 가운데 하나다.

당시 구제주시권을 벗어나 새로운 거주지를 확보한다는 차원에서 개발된 '신제주'의 대표적인 5성급 호텔로서 그랜드호텔은 그 자체만으로 존재감이 컸다.

특히 제주관광의 주수입원이었던 일본 관광객들이 주로 머물고, 오라컨트리클럽과 연계되면서 그랜드호텔의 명성은 서귀포 중문관광단지에 있는 호텔신라나 롯데호텔과 어깨를 나란히했다.

그런데 이 호텔이 갑자기 메종글래드 제주로 간판을 바꾼 건 2015년 8월.

메종글래드 제주는 수백억원을 들여 침구를 교체하는 등 내부를 새로 고치고, 웨딩홀과 컨벤션 시설을 보강하는 등 새 이름에 걸맞는 호텔로 안착하기 위해 공을 들였다.

하지만 이 모든 게 모기업인 대림그룹이 글래드라는 브랜드를 사용하게 한 뒤 회장과 아들의 뒷주머니를 채우기 위한 잔머리로 드러났다.

대림산업이 그룹의 호텔 브랜드 글래드 상표권을 이해욱 회장과 아들이 100% 지분을 보유한 회사에 넘겨주고는 자회사인 오라관광이 사용하게 하는 식으로 이 회장 일가가 수익을 챙긴 사실이 공정거래위원회 조사 결과 드러났다.

2016년 1월부터 지난해 7월까지 오라관광이 글래드 상표를 쓰고 지급한 수수료는 31억원이다. 2026년까지 10년간 지급하기로 한 브랜드 수수료는 253억원에 달한다.

공정거래위원회는 대림산업에 과징금 13억원을 부과하고, 이 회장 등을 검찰에 고발하기로 했다.

이처럼 35년간 써 온 호텔 간판을 하루 아침에 바꾼 게 대기업 총수 일가의 뒷주머니 챙기기용으로 드러나면서 제주도민들을 씁쓸하게 하고 있다.

그랜드호텔을 끼고 있는 인근 사거리가 지금도 제주지역 택시기사들에게 그랜드호텔 사거리로 불릴 정도로 도민들에게 친숙해 그 씁쓸함은 더 크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