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광복동 롯데타운의 공유수면 매립목적 변경과 관련해 지역시민단체가 롯데를 규탄하고 나섰다.
부산경실련은 7일 성명서를 통해 "롯데가 광복동 롯데타운의 용도를 주거시설로 변경하려는 꼼수를 부리고 있다"며 "허가 관청에서는 이를 승인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지난 6일 롯데가 올해 하반기 중 광복동 롯데타운의 공유수면 매립목적 변경을 신청할 예정"이라며 "부산경실련이 그동안 끊임없이 반대의 목소리를 외쳤던 사안이 또 다시 벌어지려 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롯데타운은 지난 2009년 터파기 공사를 비롯한 기초공사를 마치고 건물의 상부공사는 손도 대지 않고 9년째 방치됐다"며 그동안 "롯데는 공유수면을 매립한 땅에 목적과는 다른 아파트를 지어 분양할 수 있게 해달라는 무리한 요구를 끊임없이 해왔는데, 사업성을 핑계로 눈앞의 이익만 쫒아 계획에도 없던 시설을 포함하게 해달라고 '생떼'를 부리는 것"라고 강조했다.
경실련은 "부산지방해양항만청은 애초 매립허가가 호텔과 오피스텔 건립을 조건으로 난 만큼 주거시설을 포함하는 것은 매립목적에 어긋난나며 허가를 반려해 왔다"며 "하지만 매립지 준공 검사일 10년이 되는 올해 용도변경 허가 권한이 관할지자체로 넘어온다"
고 밝혔다.
이어 "그 시점에 맞추어 롯데는 다시 매립지 용도변경을 요청해 당초 호텔과 오피스텔이 아닌 주거시설을 포함하겠다는 꼼수를 부리고 있다"고 꼬집었다.
특히 2015년 3월19일에 열린 부산시의회 제 243회 임시회에서 시정질의를 통해 서병수 부산시장이 '롯데타운의 주거시설을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라고 답변한 적이 있는 만큼 롯데가 공사를 중단한 채 '버티기'를 한 것이라고 일침을 가했다.
또 "롯데타운에 대한 특혜의혹은 그 동안 수없이 제기됐다"며 "부산시는 수년동안 방치된 롯데타운에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않고, 오히려 백화점, 아쿠아몰, 마트, 영화관 등 대을 부분의 수익시설이 버젓이 임시사용승인을 통해 많은 수익을 내고 있다"며 특혜 의혹을 제기했다.
끝으로 결신련은 "부산시는 당초 공유수면을 매립한 이유가 무엇이었는지 명확히 인식해야 할 것"이라며 "또한 용도변경 허가권한이 지자체로 이양되었고 상황이 변했다는 이유로 무분별하게 용도변경을 허용한다면 그야말로 난개발이며 특혜"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