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집권 자민당의 연립 파트너인 공명당이 집단 자위권 행사를 최소한도로 용인하는 방안에 대해 당내 조정에 착수할 방침이라고 NHK가 13일 보도했다.
공명당은 1972년 공표된 정부 견해를 인용, "국민의 생명, 자유 및 행복 추구의 권리가 근저로부터 부정당하는 긴급하고 부정(不正)한 사태"에 한정해 집단 자위권 행사를 용인하는 쪽으로 당론을 모아가고 있다.
이는 아베 총리가 지난달 15일 기자회견을 통해 사례들과 함께 밝힌 '한정적 용인론'보다 더욱 행사 범위를 좁히는 방안이다.
평화주의를 표방하는 정당으로서, 신중론을 펴온 공명당이 일단 집단 자위권을 용인하는 방향으로 전환함에 따라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의 헌법해석 변경 작업은 8부 능선을 넘어선 것으로 평가된다. 다만 '공명당 안을 받아들일 경우 집단 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는 경우는 거의 없게 되는 것 아니냐'는 견해가 자민당 안에서 나오고 있어 양당의 최종 조율에 시간이 걸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전망이다.
아베 내각과 자민당은 당내 협의에 시간이 필요하다는 공명당의 입장을 감안해 오는 22일까지인 정기국회 회기 안에 헌법해석 변경을 위한 각의(국무회의) 결정을 하려던 계획을 최장 내달 상순까지 미룰 수 있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