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중대 성동규 교수 "방송위 결정 따르면 뉴스가 정부 정책 홍보로만 채워질 것"

 

방송위원회의 ''방송채널사용사업자( PP)의 보도프로그램 편성 금지안''에 대한 우려가 학계에서도 공식 제기됐다.

중앙대 신문방송학과 성동규 교수는 31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이슈와 사람'' 프로그램에 출연해 "선진국에서는 정부가 보도 자체를 봉쇄하거나 보도할 수 있는 채널을 정해주는 경우는 없다"며 "CBS 뿐만 아니라 경제 관련 채널에 이르기까지 기존 법이 허용하는 한도 내에서는 최대한 방송국에 자율권을 주는 게 올바른 정책"이라고 강조했다.

성 교수는 방송위의 결정 근거에 의구심을 제기하며 보도 허용을 소수의 정부 소유·운영 채널로 국한한 것에 우려를 나타냈다. 그는 방송위의 결정 배경에 대해 "책임을 질 수 있는, 책임을 질 위치에 있는 프로그램에 뉴스 보도를 할 수 있는 권한을 준다는 것은 당연하다"며 "충분한 전문인력과 기자재를 보유한 경우 책임있는 보도가 가능한 것"이라고 견해를 밝혔다.

성 교수는 "보도 프로그램 편성을 정부가 소유하거나 운영 중인 방송으로 제한키로 한 것의 근거가 뭔지 생각해봐야 할 것 같다"고 따지며 "방송위 결정이 만일 그대로 시행될 경우 객관적이고 공정한 보도보다는 정부 정책을 홍보하는 뉴스로 채워질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를 표시했다. 방송위가 보도 뉴스 편성권의 허용을 KTV, 국회방송, 아리랑TV, 방송통신대학 등 정부가 소유하거나 운영 중인 곳으로 제한한 문제점을 지적한 발언이다.[BestNocut_L]

성 교수는 이어 "방송위의 잘못된 결정이 본질적으로 언론자유에 대한 심각한 침해로 이어질 수 있다"며 "케이블TV 등 전문채널이라 할 경우에도 자율편성 권한이 있는데, 이를 봉쇄함으로써 헌법에 명시된 표현의 자유를 위반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를 표시했다.

성 교수는 이에 따라 방송위 안과는 반대로 "채널들에 최대한 자율권을 주고, 책임을 다할 수 있는 자율적인 분위기를 더 강화해야 보도의 책임성 문제가 확고해질 것"이라고 방향을 제시했다.

방송위는 최근 한국정책방송(KTV), 국회방송(NATV), 방송통신대학(OUN), 아리랑TV 등 4개 채널만 예외적으로 보도 프로그램 편성을 허용하는 행정예고안을 고시해 CBS TV 등 기존 방송 채널 사용자로부터 큰 반발을 사고 있다.

이 행정고시안이 그대로 시행될 경우 CBS TV와 한경와우TV 등 케이블 방송들은 개국이래 방영해온 뉴스프로그램을 중단해야 하는 상황이다.

0

0

전체 댓글 1

새로고침
  • NAVER시골아재2025-07-03 00:14:26신고

    추천0비추천0

    수술 성공해서 아픔 없는 삶을 살아가길 바랍니다.


고독 死각지대, 고립청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