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曰 君子和而不同, 小人同而不和.
해석:공자가 말했다. "군자는 조화롭게 어울리지만 반드시 같기를 요구하지는 않고, 소인은 반드시 같기를 요구하지만 조화롭게 어울리지는 못한다."
화이부동(和而不同)은 차이점을 인정하면서 같은 목적을 추구한다는 구동존이(求同存異)와 같은 말이다. 조화를 추구하지만 모두가 똑같아지도록 요구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동이불화(同而不和)는 자기와 다른 의견을 가진 사람을 무차별적으로 공격하는 것을 말한다. 화이부동과 동이불화는 기업에도 확연히 다른 결과를 가져온다. 화이부동은 혁신적인 사고가 가능한 기업을 만든다. 하지만 동이불화는 경영자 한 사람의 말이 진리가 되어 아무도 발전적인 의견을 내놓지 않는 분위기를 만든다. 이런 기업은 그나마 있던 혁신의 가능성마저 잃어버리고 말 것이다.
실천:당신의 의견과 부하 직원의 의견을 일치시키려 하지 마라. 오히려 부하 직원들이 더욱 창의적인 사고를 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기업 발전을 촉진할 수 있는 의견은 적극적으로 수렴하라.
출처=하루 한장 논어경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