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 연합뉴스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6일(현지시간) "한미 간의 외교·안보 관계가 현재 진행중인 관세 협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워싱턴DC를 방문한 위 실장은 "안보보좌관이나 안보실장은 양국과의 관계 전반을 다룬다고 봐야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위 실장은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 겸 국가안보보좌관을 만나 안보·통상 관련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 기한 만료가 오는 8일로 다가온 가운데 전날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에 이어 이날 안보 수장도 미국을 찾아 말 그대로 '올코트 프레싱'을 벌이고 있는 것이다.
위 실장은 방미 목적에 대해 은 "협상이 꽤 중요한 국면으로 움직이고 있기 때문에 좀 더 고위급에서 관여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저도 그렇고 루비오 장관도 통상 협상 전면에 있는 것은 아니지만 그 일에 조정하고 감독하는 역할이 있기 때문에 와서 대응하는 게 맞다고 판단했다"고 덧붙였다.
현재 트럼프 행정부는 상호관세 유예 기한 만료를 앞두고 "협상에 진전이 없는 국가에는 관세율을 일방적으로 통보하는 서한을 보내겠다"며 각국에 대해 압박을 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위 실장은 "한미는 서로 협의가 좀 진행이 됐기 때문에 그 후에는 조금 더 입장들이 명료해졌다고 할 수 있다"며 "지금은 미국은 미국대로 어떤 판단을 하려고 하는 국면이고 또 우리도 거기에 대응해서 또 판단해야 하는 때"라고 강조했다.
위성락 안보실장은 '방위비가 관세 협상과 연계될 가능성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다양한 이슈들이 서로 얽혀 있고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고 생각한다"며 "여러 이슈가 협의의 대상이 된다"고 말했다.
한미정상회담에 대해서 위 실장은 "조속히 하자는 데 대한 공감대는 있고 좀 더 구체화할 필요가 있지만 아직 그 단계까지는 와 있지 않고 협의를 더 진행해 봐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안보실장 방미에 대해 "상황이 계속 급진전되기 때문에 그때그때 상황에 맞춰서 통상과 안보 쪽에서 힘을 합할 부분은 합하고, 각자 역할 분담할 부분은 분담해 협의를 진행해야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