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4대강 수계 미량오염물질 통합관리방안 모색

핵심요약

오늘 오후 그랜드센트럴에서 전문가 토론회
"학술 논의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방안 마련"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이 4대강 수계 현안인 미량오염물질 통합관리방안 모색에 나선다.

국립환경과학원은 18일 오후 2시 서울 중구 그랜드센트럴에서 미량오염물질 관리 체계 및 발전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4대강 수계 미량오염물질 전문가 토론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미량오염물질은 산업용 화학물질과 농약, 의약품 및 생활화학제품 등의 잔류 물질로 수중에 극미량으로 존재하지만, 생태계와 인체 건강에 잠재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물질을 말한다.

이번 토론회는 국내 수질 전문가, 학계, 연구기관, 지자체 관계자 등 약 50명이 참석해 미량오염물질의 과학적 관리 체계 구축과 미래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마련됐다.

토론회에서는 총 4개의 주제로 전문가 초청강연 및 종합토론이 진행된다.

첫 번째 연사로 국립환경과학원 이인정 연구관이 '케이(K)-미량오염물질 탐색체계 구축과 운영 방향'을 주제로 국내 수계 미량오염물질 탐색체계 및 운영 방향을 소개한다.

이어 경북대학교 박창민 교수가 '국외 미량오염물질 규제와 처리기술 적용 및 개발 동향'을 주제로 선진국의 미량오염물질 규제와 처리기술 사례를 공유하며 국내 적용 가능성을 진단한다.

세 번째 연사로는 최시내 케이앤에이(KnA) 대표가 '미량오염물질 우선관리 및 위해성 평가 전략'을 주제로 미량오염물질의 위해성 기준에 기반한 우선관리순위 설정 방안과 위해성 평가기법을 소개한다.

끝으로 영남대학교 백상수 교수는 '미량오염물질 모니터링 및 관리 고도화 미래전략'을 주제로 인공지능(AI) 기반의 예측 및 실시간 모니터링 기술 등을 통해 중장기적으로 미량오염물질을 관리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여러 화학물질 유출 사고 및 각종 하천 오염원에서 유래한 미규제 미량오염물질들을 선제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현재 낙동강 유역에만 운영 중인 수질측정센터를 2027년까지 4대강 전체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국립환경과학원 김경현 물환경연구부장은 "미량오염물질을 발생 단계에서부터 제거, 처리, 위해성 평가 및 감시(모니터링) 전략까지 전 주기적 관리 관점에서 살펴볼 것"이라며 "학술적 논의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

    고독 死각지대, 고립청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