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컨벤션센터 조감도. 강릉시 제공강원 강릉시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관광공사가 주관하는 2025년도 '글로벌 K-컨벤션 육성 공모사업'과 '지역 MICE 산업 활성화 사업'에 선정됐다고 27일 밝혔다.
특히 글로벌 K-컨벤션 육성 사업은 2025년도 기준 컨벤션센터가 없는 지자체 중 유일하게 선정됐고, 지역 마이스 산업 활성화 공모사업은 2년 연속 선정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글로벌 K-컨벤션 육성 사업은 지속 가능한 국내 기반 컨벤션 발굴과 육성을 위해 지역의 주력·특화 산업을 주제로 하는 지역 기반 국제회의를 지원하는 것이 핵심이다.
천연물 바이오 국가산업단지 조감도. 강릉시 제공올해 강릉시는 신규 국제회의 A부문(시그니처 국제회의)에 선정돼 '강릉을 넘어 세계로, 천연물·바이오의 미래를 연결하다'라는 주제로, 강릉의 대표 특화산업 중 하나로 성장하고 있는 천연물·바이오 국제 콘퍼런스를 개최할 예정이다. 시는 최대 4년간 총 6억 원의 지원을 받게 된다.
이번 콘퍼런스를 위해 강릉 마이스 전담기구인 강릉관광개발공사 마이스뷰로팀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강릉분원 천연물연구소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또한 세계적 석학과 국내 전문가들을 초청해 관련 분야 연구·정책·산업 간 협력을 강화하는 국제 네트워크의 장을 마련할 예정이다.
2년 연속 선정된 '지역 MICE 산업 활성화'를 통해서는 △강릉 마이스 인프라 탐방 팸투어 △국내외 마이스 박람회 참가 및 홍보 △강릉 마이스 산업 생태계 조성 등을 중점 추진한다. 이를 통해 강릉의 특화된 마이스 인프라를 국내외 관계자에게 알리고, 실질적인 유치 성과로 이어지도록 맞춤형 전략을 펼칠 계획이다.
오는 2026년 강릉에서는 초대형 국제행사 ITS 세계총회가 개최될 예정으로, 90여 개국에서 약 1만여 명의 기업 관계자, 정부 대표단 등이 참가하여 기술 교류와 산업 비즈니스의 장이 될 전망이다.
김홍규 시장. 강릉시 제공이에 발맞춰 건립 중인 강릉컨벤션센터는 향후 강릉과 동해안의 마이스 거점 시설로 마이스 산업 중추 역할이 기대된다. 지하 1층~지상 4층 규모로 컨벤션홀, 중·소회의실 및 부속 시설 등 다수의 공간을 전 층에 효율적으로 갖춰 다양한 국제 학술회의 및 문화 이벤트 등을 개최할 예정이다.
시는 지역 마이스 산업의 도약을 위하여 컨벤션센터 운영 준비와 강릉컨벤션센터를 활용하는 대형 마이스 유치 및 지역특화 마이스 발굴 및 육성에 힘쓰고 있다.
김홍규 시장은 "강릉은 천혜의 자연환경과 뛰어난 교통 접근성, 문화자원이라는 3박자를 고루 갖춘 마이스 산업의 최적지"라며 "'민·관·산·학이 협력하는 생태계를 조성해 마이스 산업을 강릉의 지역 미래산업으로 육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