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이 '신세계 남산'에서 열린 신입사원 수료식에 참석해 질의 응답을 하는 모습. 신세계그룹 제공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은 취임 1주년을 앞두고 '성장 본격 재개'를 선언했다.
정 회장은 지난해 3월 8일 회장으로 승진한 이후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본업 경쟁력 강화를 앞세워 그룹 전반에서 고강도 혁신에 매진했다고 신세계그룹은 5일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올해 성장의 가속 페달을 밟겠다는 설명이다.
신세계그룹에 따르면, 정 회장의 올해 성장 전략은 '투트랙'으로 나뉜다. 이마트와 스타벅스 등 시장을 리드하는 계열사들은 초격차 시장 지배력을 구축하고, 이커머스와 건설 등 지난해 부실 요소를 덜어내는 데 애썼던 사업군은 올해 완전한 경영 정상화를 이뤄 확실한 성장 기틀을 완성하겠다는 계획이다.
성장의 선봉장은 그룹의 주력인 이마트가 맡는다.
핵심 상권인 수도권에만 세 개의 매장을 추가로 선보이기로 했다. 지난달 문을 연 마곡점에 이어 상반기 중 이마트 푸드마켓 고덕점을 열고, 하반기엔 창고형 할인점인 트레이더스 구월점이 영업을 개시한다.
앞서 트레이더스를 포함한 이마트 매장 수는 2020년 160개로 정점을 찍은 후 줄곧 감소해왔고, 지난해 말 기준 이마트 매장 수는 154개다.
매출과 효율이 떨어지는 점포를 솎아낸 작업의 결과란 게 신세계그룹 측의 설명이다.
정 회장 등 그룹 수뇌부는 수년 간의 와신상담' 끝에 효율적인 점포 운영 시스템 구축 작업이 일단락됐다고 판단해 올해 다시 외형 성장을 추구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았다.
이마트는 내년에도 신규 점포를 세 곳 이상 열기로 하고, 신규 부지도 다섯 곳 이상 확보해 점포를 신설하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 지난해 7월 이마트와 한 몸이 된 이마트에브리데이도 올해 20개 이상의 프랜차이즈 매장을 연다.
정 회장은 "경기가 안 좋고 시장 상황이 혼란스러울수록 본업경쟁력을 강화해 경쟁자가 넘볼 수 없는 압도적인 지배력을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회장은 지난달 모친인 이명희 신세계그룹 총괄회장이 보유한 이마트 지분 10% 매입을 완료하며 책임 경영 의지와 실적 개선에 대한 자신감을 대내외에 보여줬다고 신세계그룹은 밝혔다.
스타벅스도 지난해 매출 3조 원을 넘어서며 이마트와 신세계백화점에 이은 그룹 내 '넘버 3'의 위상을 굳혔다.
스타벅스는 올해 100개 이상의 점포를 새로 여는데, 제주, 의암호 등 수려한 풍광을 갖춘 명소 11곳에 있는 스페셜 매장도 지속적으로 확장한다는 방침이다.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 신세계그룹 제공정 회장이 그간 부실 개선에 나섰던 이커머스와 건설은 올해를 사업 정상화의 원년으로 삼는다는 복안이다.
정 회장은 지난해 회장 취임 직후 신세계건설과 SSG닷컴, G마켓 등 계열사 인적 쇄신을 단행하고, CJ그룹과의 협업에 나섰다.
SSG닷컴은 이를 기반으로 지난해 사상 처음으로 연간 상각 전 영업이익 흑자(EBITDA)를 기록했으며, 올해는 이런 수익 기조를 더 공고히 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G마켓은 중국계 이커머스 기업 알리바바인터내셔널과 합작법인을 설립하는 방식으로 시너지 창출을 모색한다.
신세계건설은 지난달 상장폐지로 더 효율적인 경영 의사결정 체계를 구축해 중장기 사업 포트폴리오 전략을 더 신속하게 추진할 방침이다.
아울러 편의점 이마트24는 '노브랜드'를 무기로 수익 개선 흐름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