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한동훈 대표와 지도부. 윤창원 기자국민의힘은 10일 의원총회를 열어 윤석열 대통령의 질서있는 조기 퇴진 시점을 두고 난상토론을 벌였지만 결국 합의안을 도출하지 못했다.
당 정국안정화 태스크포스(TF)가 이날 '내년 2~3월 윤 대통령 하야'를 제안한 것을 두고 당내에선 "국민을 설득할 수 있는 방안이 맞냐"는 등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국민의힘 정국안정화 TF 단장인 이양수 의원은 이날 비상의원총회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윤 대통령의 조기 퇴진 시점은) 탄핵보다 빠르고 명확한 시점이라는데 공감대를 형성했다"면서도 아직 결정된 사안은 없다고 밝혔다.
앞서 이날 오후 열린 의원총회에선 TF가 제안한 '2월 하야 후 4월 대선', '3월 하야와 5월 대선' 두 방안을 두고 의원들의 자유 토론이 이어졌다.
이 의원은 "(의총에서 의원들이) 다양한 의견을 줬고 이를 지도부에서 향후 대응 방안과 계획을 수립하는 데 참고할 수 있다"며 "지도부에서 (이를) 참고해서 대통령실과 상의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TF가 내놓은 안이 아닌, '즉각적인 하야' 의견에 대해선 "즉각 하야는 60일 후에 대선"이라며 "양당 모두 대선 후보를 선출할 시간적 여유가 없다"고 설명했다.
이날 의총에서 일부 의원들은 '2~3월 하야' 방안을 현실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지를 두고 회의적인 의견을 내비친 것으로 알려졌다.
당의 한 충청권 중진 의원은 취재진과 만나 "(TF가) 너무 성급한 방안을 가지고 온 것 아닌가. 2월 하야와 3월 하야 어떤 점이 다른가. 그 시기에 국민이 납득할 만한 사유가 있나"라며 "즉시 내려와야 한다는 목소리가 있는 상황에서 이들이 내놓은 안이 야당과 협상이나 되겠나"라고 말했다.
한동훈 대표는 의원총회에서 "법적으로 (대통령의) 권한을 정지할 수 있는 방법은 헌법상 몇 가지가 안 되지 않나"라며 "(윤 대통령의 직무 정지를) 하려면 (결국) 야당도 설득해야 되고 대통령도 승인을 해야 하고 국민도 승인을 해야 된다"는 취지로 발언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친한계 초선 의원은 취재진에 "애초부터 합의가 불가능한 주제다"라며 "시간이 별로 없기 때문에 결국 한 대표가 권한을 위임한 TF의 결정에 맡기는 게 맞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분명한 것은 오는 14일 있을 탄핵 표결과는 별개로 논의하고 있다고 봐 달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