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강릉시청 전경. 강릉시 제공상습침수지역인 강릉역과 주문진읍 교황리 일대를 대상으로 하수도 정비사업이 추진될 전망이다.
31일 강릉시에 따르면 환경부에서 상습침수지역을 대상으로 맞춤형 하수도 정비를 통해 침수 원인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중점관리지역 지정' 공모에 신청한 결과 강릉역과 주문진 교항리가 선정됐다.
이번 공모에는 강릉을 포함해 전국 21개 지자체에서 30개 지역이 신청했다.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에서 서류검토, 현장조사 등을 거쳐 선정위원회에서 침수피해 정도와 시급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16곳을 선정했다.
중점관리지역으로 지정되면 상습침수구역의 하수관 정비가 우선적으로 추진되며 총사업비 중 국비 60%, 도비 20%를 지원받게 된다.
이에 따라 강릉시는 국·도비 약 664억 원과 시비 165억 원 등 사업비 829억 원을 들여 강릉역 일대 6.8km, 주문진 교항리 일대 6.21km를 대상으로 우수관 개량 및 신설에 나설 계획이다. 또한 주문진에는 빗물펌프장 1개소도 추진한다.
강릉시 김철기 하수도과장은 "강릉시는 침수예방사업(행안부 5개소, 환경부 3개소) 8곳의 완료를 추진하고 있다"며 "이번에 강릉역과 주문진 교항리 중점관리지역 2개소가 추가 선정되는 등 오는 2030년까지 침수없는 방재도시를 목표로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