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박태환 후 13년 만' 김우민, 세계수영선수권 자유형 400m 金



스포츠일반

    '박태환 후 13년 만' 김우민, 세계수영선수권 자유형 400m 金

    김우민, 내가 세계수영선수권 챔피언. 연합뉴스김우민, 내가 세계수영선수권 챔피언. 연합뉴스김우민(22·강원도청)이 한국 수영에 세계선수권 금메달을 안겼다. 박태환(34) 이후 13년 만이다.

    김우민은 12일(한국 시각) 카타르 도하의 어스파이어돔에서 열린 2024 도하 국제수영연맹 세계선수권대회 경영 남자 자유형 400m 결승에서 3분42초71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차지했다. 이번 대회 경영 종목에서 나온 첫 금메달리스트다.

    호주의 일라이자 위닝턴(23)이 막판 추격을 보였으나 3분42초86으로 2위에 그쳤다. 3위는 3분42초96의 루카스 마르텐스(22·독일)였다.

    김우민은 2022년 부다페스트 대회에서 3분45초64(6위)를 터치 패드를 찍었고, 2023년 후쿠오카 대회에서는 3분43초92(5위)로 자신의 최고 기록을 작성했다.

    이번 대회에서는 300m 지점까지 세계 기록 페이스를 유지할 만큼 독주했다. 비록 박태환이 보유한 한국 기록 3분41초53은 경신하지 못했지만, 자신의 최고 기록을 1초21이나 앞당기며 정상에 올랐다.

    한국 수영 사상 세계선수권에서 금메달을 목에 건 선수는 김우민과 박태환 2명뿐이다. 박태환은 2007년 멜버른과 2011년 상하이 대회 남자 자유형 400m에서 1위를 기록했다.

    태극기 두른 '세계선수권 챔피언' 김우민. 연합뉴스태극기 두른 '세계선수권 챔피언' 김우민. 연합뉴스김우민은 지난해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3관왕(자유형 400m, 자유형 800m, 남자 계영 800m)에 오르며 '아시아 중장거리 최강'으로 우뚝 섰다. 여세를 몰아 '세계선수권 챔피언'에 등극한 그는 2024 파리 올림픽 우승 후보로 떠올랐다. 박태환(2008년 베이징 자유형 400m 1위·200m 2위, 2012년 런던 자유형 400m 2위·200m 2위) 이후 12년 만의 올림픽 메달리스트 탄생을 기대해 볼 만하다.

    2020 도쿄올림픽 남자 자유형 400m 정상에 오른 아메드 하프나우위(튀니지)의 당시 기록은 3분43초36이었다. 2016 리우데자네이루 대회에서는 맨 호턴(호주)이 3분41초55로 1위를 차지했다. 김우민은 3분42초대 진입을 목표로 파리 올림픽에 도전한다.

    한국 수영은 김우민의 금메달로 역대 세계선수권 최다 메달 기록을 갈아치웠다. 앞서 다이빙에서 김수지(25·울산광역시청)가 여자 3m 스프링보드에서 동메달, 이재경(24·인천광역시청)과 함께 출전한 혼성 싱크로 3m 스프링보드에서 동메달을 연거푸 따냈다.

    또 한국 수영은 역대 세계선수권 메달을 9개(금 3개, 은 1개, 동 5개)로 늘렸다. 이번 대회 이전에는 박태환 외에도 김수지가 따낸 2019년 광주 대회 다이빙 여자 1m 스프링보드 동메달, 황선우(20·강원도청)가 자유형 200m에서 은메달 1개(2022년 부다페스트)와 동메달 1개(2023년 후쿠오카)을 수확한 바 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