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제공삼성전자가 차세대 그래픽 시장의 성장을 주도한 '32Gbps GDDR7(Graphics Double Data Rate) D램'을 업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Gbps는 1초당 전송되는 기가바이트 단위 속도를 뜻한다.
32Gbps GDDR7 D램은 주요 고객사의 차세대 시스템에 탑재돼 연내 검증이 시작될 예정이다.
이번 제품은 향상된 고성능‧저전력 특성을 갖춘 16Gb 제품으로 기존 대비 데이터 처리 속도가 1.4배, 전력 효율이 20% 향상됐다.
삼성전자는 이번 제품에 'PAM3 신호 방식'을 신규 적용해 데이터 입출력 핀 1개당 최대 32Gbps의 업계 최고 속도를 구현했다. PAM3 신호 방식은 기존 NRZ 방식보다 신호 주기에 1.5배 더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에 따라 32Gbps GDDR7 D램을 그래픽 카드에 탑재하면 최대 초당 1.5TB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기존 최대 1.1TB를 제공하는 GDDR6 대비 1.4배 향상된 성능이다.
삼성전자는 고속 동작에 최적화한 저전력 설계 기술을 적용해 전력 효율을 개선했다. 특히 노트북 등 저전력 특성이 중요한 응용처를 위해 초저전압을 지원하는 옵션도 제공한다.
또 삼성전자는 열전도율이 높은 신소재를 EMC 패키지에 적용하고 회로 설계를 최적화해 고속 동작으로 인한 발열을 최소화했다. 기존 GDDR6 대비 열저항이 약 70% 감소해 고속 동작에서도 안정적인 품질을 제공한다.
삼성전자는 GDDR7 D램이 향후 차세대 고성능 컴퓨팅(HPC), AI(인공지능), 자율주행차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