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현장EN:]조선왕조 마지막 궁중잔치 120년 만에 재현



공연/전시

    [현장EN:]조선왕조 마지막 궁중잔치 120년 만에 재현

    궁중잔치 '임인진연'

    서울 국립국악원 예악당서 8월 12~14일까지

    국립국악원 제공국립국악원 제공500년 조선왕조와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실 잔치가 120년 만에 최초로 공연 무대에 오른다.

    국립국악원은 12일 서울 덕수궁 정관헌에서 '임인진연' 제작발표회를 열고 "1902년(임인년) 12월 7일(음력 11월 8일) 덕수궁 관명전에서 거행된 궁중 잔치 '임인진연'을 재현해 8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공연한다"고 밝혔다. 진연(進宴)은 궁중에서 베푸는 잔치를 뜻한다.

    고종 즉위 40주년이던 1902년 치러진 임인진연은 급변하는 개화기에 대외적으로는 황실의 위엄을 세우고 대내적으로는 군신의 엄격한 위계질서가 드러나는 국가적 의례를 통해 자주 국가 대한제국을 과시하기 위한 수단이었다.

    김영운 국립국악원장은 이날 "황태자(순종)와 문무백관이 다섯 차례 간청한 끝에 진연이 성사됐다. 대신 고종은 당시 우리가 처한 국내외 상황을 반영해 비용과 인원을 최소화하도록 당부했다"고 말했다.

    '임인진연'은 '외진연'(중화전)과 '내진연'(관명전)으로 나눠 행해졌다. 김 원장은 "왕가의 가족과 친인척이 주로 참여하는 '내진연'이 공연 문화로는 훨씬 잘 짜였기 때문에 이번 공연은 '내진연'을 재현했다"고 덧붙였다.

    국립국악원 제공국립국악원 제공특히 이번 공연은 극장에서 공연으로 선보이는 만큼 객석을 황제의 어좌로 설정했다. 박동우 연출(무대미술)은 "관객이 황제의 시선에서 공연을 보게끔 했다"며 "공연은 하루 종일 열렸던 잔치를 90분으로 압축했기 때문에 복잡한 의례와 절차는 생략하고 음악과 무용에 집중하도록 했다"고 말했다.

    국립국악원 무용단과 정악단이 함께 한다. 궁중무용은 봉래의, 헌선도, 몽금척, 가인전목단, 향령무, 선유락이, 궁중음악은 보허자, 낙양춘, 해령, 본령, 수제천, 헌천수 등으로 꾸민다. 무용과 음악은 황제의 장수와 나라의 태평성대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았다.

    '임인진연'의 상세한 내용이 기록된 문서인 '진연의궤'와 병풍화 '임인진연도병' 등 기록유산을 바탕으로 공연을 준비했다.

    박동우 연출은 "120년 만에 하는 진연이라서 창작요소를 가미하기 보다는 재현에 중점을 뒀다. 진연의궤와 임인진연도병에 나오는 기록을 잘 살펴서 충실하게 재현하겠다"며 "진연의궤는 상에 올린 떡의 개수와 높이, 재료까지 정리되어 있다. (기록이) 완벽하다. 당시 화가와 기록원들에게 무한한 감사를 보낸다"고 말했다.

    국립국악원은 이번 공연을 마치면 120년 전 실제 임인진연을 거행했던 덕수궁 관명전 터에서 재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국립국악원 제공국립국악원 제공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