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탈레반이 장악한 아프간, 또 테러 근거지 될까?



중동/아프리카

    탈레반이 장악한 아프간, 또 테러 근거지 될까?

    수십억 달러 지원받은 아프간 정규군, 부정부패로 자멸
    탈레반, 안전보장…시민들은 폭력적 체제 복귀 우려
    IS, 아프간 근거지 활용…탈레반, 진압 의지·능력 의문

    아프간 대통령궁 점령한 탈레반. 연합뉴스아프간 대통령궁 점령한 탈레반. 연합뉴스
    이슬람 무장조직 탈레반이 20년 동안 전쟁을 벌이던 미군이 철수를 완료하기 직전 아프가니스탄을 점령했다.
     
    AP통신은 16일(현지시간) 탈레반이 장악한 아프간의 미래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전망했다.
     

    아프간 정규군은 왜 무너졌을까?


    간단히 말하면 부정부패다.
     
    미군과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 동맹국들은 아프간 보안군의 훈련과 무장에 수십억 달러를 사용했다.

    하지만 서방이 지원하는 정부는 부패로 가득했다. 지휘관은 돈을 빼돌리기 위해 병력 숫자를 부풀렸고, 야전 부대는 탄약과 보급품, 심지어 식량 부족에 시달렸다.
     
    미군의 철수가 확정되자 그들의 사기는 더 떨어졌다. 빠르게 진격하는 탈레반과 짧은 전투 끝에 모든 부대가 항복했고, 결국 수도 카불과 일부 지역은 전투없이 함락됐다.
     

    아프간 대통령은 무엇을 했나?


    아슈라프 가니 아프간 대통령. 연합뉴스아슈라프 가니 아프간 대통령. 연합뉴스
    도망쳤다.
     
    아쉬라프 가니 대통령은 탈레반이 나라를 휩쓸고 있을 때 공식 성명조차 거의 발표하지 않고 몸을 아꼈다. 지난 15일 탈레반이 수도를 점령하자, 그는 "유혈사태를 피해기 위한 선택"이라며 아프간을 떠났다. 현재 행방은 묘연하다.
     

    왜 사람들은 사이공 함락과 비교할까?


    1975년 북베트남군이 사이공을 점령하면서 베트남 전쟁이 끝났다. 즉 미군과 그 동맹인 남베트남군이 헬기를 타고 도시를 떠나는 장면은 지금까지 패배의 상징이 됐다.
     
    다만 토니 블링턴 미국 국무장관은 "여기는 명백하게 사이공이 아니다"라며 아프간과 사이공 간의 비교를 거부했다.
     

    아프간에서 무슨 일이 벌어질까?


    카불에서 경비를 서고 있는 탈레반 조직원들. 연합뉴스카불에서 경비를 서고 있는 탈레반 조직원들. 연합뉴스
    확실한 것은 없다.
     
    탈레반은 다른 군벌들과 함께 "포괄적인 이슬람 정부"를 구성하겠다는 계획이다. 그들은 전 정부 지도부를 포함한 고위 정치인들과 협상을 하고 있다.
     
    그들은 이슬람 율법을 시행하지만 이전의 일상생활로 돌아갈 수 있는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겠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많은 아프간 시민들은 탈레반을 믿지 않는다. 폭력과 억압적인 통치를 할 것이라고 두려워한다. 그 이유 중 하나는 탈레반이 국가명을 '아프가니스탄 이슬라믹 에미리트'로 바꾸겠다고 한 점이다. 이 국가명은 탈레반이 예전에 통치했을 당시 사용했다.
     

    탈레반은 알카에다를 또 숨겨줄까?


    미군이 걱정하는 부분이다.
     
    지난해 미국과 평화협상을 체결한 탈레반은 테러와 싸우고 아프간이 공격기지로 사용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미국은 이 약속을 강제할 힘이 거의 없다.
     
    탈레반은 9‧11 테러에 대해 엄청난 대가를 치렀고, 그들이 아프간 통치를 강화하려는 만큼 같은 일이 반복되는 것을 피하고 싶어 한다.
     
    하지만 미국 국방부는 알카에다와 같은 극단적인 단체가 아프간에서 재건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또 그런 단체가 예상보다 훨씬 빨리 성장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아프간은 최근 시아파를 상대로 테러를 일으킨 IS(이슬람 국가) 관련 단체의 본거지다. 탈레반은 이 같은 테러행위를 비판하고 두 단체는 영토를 차지하기 위해 싸웠지만, 탈레반 정부가 IS를 진압할 수 있는지 또는 그럴 의지가 있는지는 미지수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