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진용 갖춰가는 이재명號…장관 임명 '협치 시험대'

대통령실

    진용 갖춰가는 이재명號…장관 임명 '협치 시험대'

    국회 임명동의는 필요 없지만…野 공세 불 보듯

    金총리 6일에는 李정부 첫 고위당정협의회 주재
    인사청문 과정서 제기된 의혹 두고 여야 갈등
    본회의 임명동의안 표결에 野불참 등 여진 지속
    李대통령 "野 불만 타당하다면 수용해야" 협치 메시지
    與내선 "총리 인사만으로 독주 판단 안 돼…지켜봐야"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김민석 국무총리에게 임명장을 수여한 후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이재명 대통령이 4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김민석 국무총리에게 임명장을 수여한 후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정부의 내각 구성이 김민석 국무총리의 임명으로 본격 시작됐다. 취임 30일 기자회견으로 국민설명회를 가진 이 대통령은 자신이 지명한 국무위원들을 중심으로 국정운영에 속도를 더할 방침이지만, 야권의 반대 속 임명 강행은 협치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金총리에 임명 직후 임명장 수여…李정부 첫 내각 인사

    이재명 대통령은 4일 김민석 국무총리를 비롯해 비서실장 등 7명에게 임명장과 위촉장을 수여했다. 이 대통령이 지명한 내각 인사에 대한 첫 임명식이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함께 임명장을 받은 인사들은 이미 임명돼 한 달 가까이 일을 해오던 터라, 사실상 임명과 함께 임명장을 받은 인사는 김 총리가 유일했다.
     
    김 총리는 이 대통령의 지명 30일 만에 임명장을 받아들며, 공식 업무를 시작했다. 6일에는 이재명 정부의 첫 고위당정협의회를 주재하며 추가경정예산 집행 방안, 물가 대책, 폭염·수해 등 재난안전대책 등을 논의할 전망이다.
     

    野 임명동의안 불참 등 남아있는 여진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가 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26회국회(임시회) 제4차 본회의에서 임명동의안 통과 후 의원들로부터 축하를 받고 있다. 윤창원 기자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가 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26회국회(임시회) 제4차 본회의에서 임명동의안 통과 후 의원들로부터 축하를 받고 있다. 윤창원 기자
    김 총리에 대한 임명작업이 마무리됐지만, 여진은 남아있다. 김 총리 인사청문 과정에서 제기된 각종 의혹을 둘러싸고 여당인 더불어민주당과 제1 야당인 국민의힘 간 신경전으로 인해 총리 임명동의안 본회의 표결에 야당이 집단으로 불참했기 때문이다.
     
    앞서 국민의힘은 김 총리가 자료 제출을 제대로 하지 않고 있다며 청문회 이틀 차 저녁에 보이콧에 나섰는데, 민주당은 문제될 것이 없다며 비판했고 결국 파행으로 이어졌다.
     
    민주당이 단독으로 국회 과반 의석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국회 인준에는 문제가 없었지만, 초대 총리 임명부터 정부·여당이 힘으로 밀어붙인 모양새가 됐다.
     
    이달 14일 강선후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를 시작으로 인사청문회가 연이어 열릴 예정인데, 국회의 임명동의가 필요없는 각 부처 장관의 경우 더욱 쉽게 임명을 강행하는 것 아니냐는 전망도 나온다.
     

    지속되는 李대통령의 '협치' 메시지…"지켜봐야"

    다만 이 대통령은 협치와 관련한 메시지를 계속해서 내고 있다. 이 대통령은 지난 3일 기자회견에서 "통합과 협치, 그리고 인사는 관련성이 매우 높다"고 말했다. 검찰 출신 민정수석비서관 임명, 전 정권 장관의 유임 등 자신의 폭넓은 인사가 통합과 협치의 메시지 중 하나라는 발언으로 풀이된다.
     
    특히 야당에 대해서도 "야당의 불만이 타당하고 합리적 근거가 있는 것이라면 당연히 수용해 교정을 해야 한다"고 말하는 한편, 영수회담 정례화에 대해서도 "기본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한 여당 의원은 "이제 겨우 총리 임명이 끝났을 뿐이고, 총리와 관련한 의혹 또한 문제가 될 것 없다는 여론이 상당했던 만큼 이번 임명동의안 표결과 임명을 정부·여당의 독주로 해석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지 않겠느냐"며 "이 대통령의 말처럼 실제로 협치가 이뤄질지 여부는 잠시 지켜보면 될 것"이라고 말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