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3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파인그라스에서 열린 문화예술계 수상자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이재명 대통령이 30일 문화예술계 인사들과 만나 "국가 정책적으로 문화 부분에 투자나 지원을 대대적으로 늘리고 자라나는 세대에게 기회도 줘서 문화적 영향력을 키우면 우리가 세계적인 강국으로 갈 수 있지 않겠나"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파인그라스에서 열린 '문화예술계 수상자 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하며 "문화부 장관이 이런 걸 다 할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하는데, 너무 복잡하게 고민하다 보니 못 뽑고 있다. 여러분도 고민해달라"며 웃음 지었다.
간담회에는 넷플릭스 비영어권 1위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 김원석 감독, 토니상 6관왕의 한국 창작 뮤지컬 '어쩌면 해피엔딩' 박천휴 작가, 성악가 조수미, 78회 칸국제영화제 학생 부문 1등 상을 수상한 허가영 영화감독, 박윤재 발레리노 등 문화예술계 주역들이 참석했다. 대통령실에선 김혜경 여사와 함께 김용범 정책실장, 문진영 사회수석도 자리했다.
이재명 대통령과 김혜경 여사가 3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파인그라스에서 문화예술계 수상자들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이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부터 '폭싹 속았수다'의 팬이라고 밝히며 시청 도중 눈물을 흘렸다고 언급한 바 있다. 그는 이날도 "대한민국의 문화적 가능성이 어느 정도 잠재력이 있을까 확신을 갖지 못했는데, '폭싹 속았수다'를 보면서 이걸 산업으로 키워 대한민국을 전세계에 드러낼 수 있는 결정적 계기가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드라마를 보며) 우는 거야 당연히 갱년기라 그런가 싶었는데 그건 아닌 듯하다"며 "남미나 유럽에서도 호평을 받았다고 하니 이걸 어떻게 더 키우고 우리 국민에게 높은 수준의 문화를 즐길 기회도 주고, 일자리도 만들고, 국력도 키우는 수가 될까 계속 고민하게 됐는데 '폭싹 속았수다'가 많은 가능성을 보여줬다"고 극찬했다.
김 여사는 "제가 먼저 드라마를 울며불며 보고 (이 대통령과) 함께 봤다"며 "드라마 주인공의 모습이 하늘나라에 가신 시누이(이 대통령의 누이)를 연상시킨 것 아닌가. 그래서 눈물샘을 자극한 것 아닌가 싶다"고 전했다.
김원석 감독은 "(참석한 문화예술계 인사) 다섯 분 중에 유일하게 상을 받지 않고 자리에 있다. 대통령 내외분의 눈물이 상이었던 것 같다"고 화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