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찰이 새마을금고 직원 7~8명이 '전세 사기' 불법 대출에 개입했는지 여부를 수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부동산 임대 사업자 등이 주도한 '전세 사기' 관련 대출 금액은 새마을금고 등에서만 700억 원 가량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또, 다른 금융기관에서도 불법 대출이 있었는지 주목하고 있다.
24일 CBS노컷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대전지검 공판부는 한밭새마을금고 직원들이 전세사기 불법 대출에 조직적으로 개입했는지를 수사하고 있다.
검찰은 지난 19일 한밭새마을금고 지점을 압수수색하면서 당초 알려진 4곳을 넘는 7곳에서 자료 수집에 나섰는데, 이 때 지점 7곳에서 700억원대에 이르는 대출 자료 등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700억 원에 달하는 대출 거래 과정에서 '이상한 흐름'에 개입한 것으로 의심되는 새마을금고 직원 7~8명을 수사 대상에 올려놓고 수사를 벌이고 있다. A씨 등 대출 과정에 끼어든 부동산 임대업자와 브로커 등 20여명이 새마을금고 일부 직원들과 짜고 대출을 받았는지 등도 수사할 계획이다.
검찰은 불법 대출 의혹을 받고 있는 A씨의 수법이 법인 쪼개기 등으로 거래를 한 것으로 일부 확인된 만큼 이 과정에서 새마을금고 대출 담당업무 직원의 묵인이나 개입, 또 금고 관계자가 대출 업무 직원에게 부당한 지시를 했는지 등을 확인할 계획이다.
재판 과정에서 검찰에 불법 대출 거래 정황이 포착된 부동산 임대업체 대표 A씨는 본인과 가족, 법인 명의 등으로 1천억 원에 가까운 돈을 금융기관에서 대출 받았던 것으로 파악됐다.
CBS가 확보한 자료와 취재를 종합하면, A씨는 한밭새마을금고에서 190억 원을 대출받은 것을 비롯해 세종과 대전 등에 있는 다른 새마을금고 20곳에서 모두 699억 9320만 원의 대출을 받았다. 1심에서 전세 사기 관련 대출로 확인된 금액은 1100억 원이 넘는다.
검찰은 특히, A씨가 새마을금고 외 타 금융기관에서도 대출을 받은 내역을 확보해 자료를 분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기관 수사 대상이 확대될 가능성도 있는 부분이다.
이에 대해 검찰 관계자는 "수사가 진행 중이어서 불법 대출 규모를 특정할 수 없고, 구체적으로 피의자와 압수물을 확인해 주기는 어렵다"며 "다른 금융기관 확대 여부도 확인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