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유방암환우총연합회, 한국환자단체연합회, 한국희귀·난치성질환연합회 등 92개 환자단체가 지난해 '의사 집단휴진 철회 및 재발방지법제정 환자촉구대회'를 갖고 환자의 치료받을 권리 보장을 촉구하고 있다. 황진환 기자최근 일부 전공의와 의과대학 학생들 사이에서 복귀을 원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가운데 환자단체는 환자와 국민에 대한 사과가 먼저라고 밝혔다.
한국중증질환연합회는 23일 논평을 내고 "지난 수개월 간 치료 기회를 박탈당한 수많은 중증·응급환자들에게 진심으로 고개를 숙이고, 의료인의 사회적 책임을 되묻는 태도 전환이 먼저"라고 밝혔다.
연합회는 "지난 1년 5개월간 이어진 의료공백 사태는 단순한 갈등이 아니라 수많은 생명을 위협하고, 실제 환자 피해를 낳은 심각한 의료 붕괴 사태였고 그 중심에는 전공의, 의대생 및 일부 의료계 인사들의 책임도 크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 와중에도 정부는 전문의 시험, 입대 유예, 정원 유연화 등 전례 없는 수준의 복귀 여지를 열어뒀다"며 "전공의들은 조건 없는 복귀를 끝내 거부했고, 이로 인해 피해를 본 것은 단연코 환자와 가족, 그리고 남은 의료진"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지금 필요한 것은 '복귀 설문'이 아니라 '책임 복귀 선언'과 '재발방지 법제화'에 대한 공개 동참"이라고 말했다.
연합회는 향후 유사 사태 재별을 막기 위한 '의료공백 재발방지 특별법' 제정 등 '환자 중심의 의료정상화 4대 조치'를 신속히 시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밖에도 △의료공백으로 인한 환자 피해 실태를 전수조사할 '환자 피해조사기구' 발족 △진료 중단 사태의 경과를 평가하고 책임자를 제도적으로 조치할 재발 방지 프로토콜 마련 △진료 중단으로 손해를 입은 환자·가족에게 적절한 국가 차원의 보상제도 신설 등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