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정치 일반

    새 정부 외교라인 윤곽…1·2차관에 박윤주·김진아

    李대통령, 외교부 1·2차관 임명

    박윤주 1차관…미국통 직업 외교관
    김진아 2차관…다자외교 정통 학자 출신

    이재명 대통령이 1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국기에 경례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이재명 대통령이 1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국기에 경례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이재명 대통령이 10일 외교부 1차관으로 박윤주(55) 주아세안대표부 공사를, 2차관으로 김진아(46) 한국외대 교수를 임명하며 외교안보라인의 윤곽이 드러났다.
     
    양자외교를 총괄하게 될 박 차관은 대미업무에 정통한 직업 외교관이다. 1970년생으로 서울대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조지워싱턴대 국제무역투자과정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외무고시 29회로 1995년 당시 외무부에 입부한 뒤 주미한국대사관 1등서기관, 북미2과장, 북미국 심의관, 인사기획관, 주애틀란타 총영사, 주아세안대표부 공사 등을 역임했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워싱턴 정무공사로 근무할 때 함께 근무했고 노무현 대통령 인수위원회에서 함께 활동한 인연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실은 박 차관에 대해 "외교부 북미국 심의관 등 오랜 워싱턴 경력을 바탕으로 북미지역 현안 해결에 탁월한 전문성을 보였다"며 "트럼프 2기 최우선 과제인 관세 협상 등에서 국익 중심의 실용외교를 지켜낼 적임자로 손꼽힌다"고 설명했다.
     
    다자외교를 총괄할 김 차관은 1979년생으로 부산대 영어영문·정치외교학 학사를 수료한 뒤 연세대 국제대학원에서 국제학 석사를 졸업했다. 이후 터프츠대 플레쳐스쿨 국제관계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유엔 사무총장 직속 군축자문위원회, 한국국방연구원 북한군사연구실장·연구위원, 외교부 과제평가위원 등을 지냈다.
     
    김 차관은 지난 대선에서 더불어민주당 글로벌책임강국위원회 산하 국익중심 실용외교위원회의 부위원장을 맡았다.
     
    대통령실은 "한미연합사 자문위원을 역임하는 등 다양하고 입체적 경험이 돋보이며 한국인으로선 세 번째로 유엔 사무총장 직속 자문위원을 지낸 유망한 학자"라며 "다자외교 무대에서 대한민국의 국익을 지킬 인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