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필순 광주시의원. 광주시의회 제공광주지역 싱크홀(지반침하) 발생 원인의 절반 이상이 하수시설 손상에 기인하며, 지하시설물의 노후화가 싱크홀 증가의 주된 원인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23일 광주광역시의회 박필순 시의원(광산구3)에 따르면 최근 5년 간(2020~2024년) 광주에서 발생한 싱크홀 107건 중 69건(64.4%)이 하수시설이 원인이 돼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에는 역대 최장 기간 장마와 집중호우로 인해 55건의 하수관 유발 싱크홀이 발생했다.
광주는 지하시설물 노후화도 심각한 상황이다.
2024년 기준 상수도는 총 연장 4117㎞ 중 2186㎞(53%)가 20년 이상 된 노후관이다.
30년 이상은 805㎞(19.5%)에 달한다.
하수도는 총 연장 4570㎞ 중 3006㎞(65%)가 20년 이상 노후된 상황이다.
싱크홀 발생에 취약한 지반 특성을 지닌 곳도 광주에 여러 곳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반층이 주를 이루는 기저지반 외에도 영산강과 광주천 인근은 실트·모래·자갈 등 불균질 지층이 분포해 지반 침하에 취약한 것으로 조사됐다.
박필순 의원은 "정부의 중점 과제 중 하나는 지자체 중심의 지하시설물 관리체계 구축"이라며 "광주는 도시철도 2호선, 향후 광천상무선 같은 대규모 지하공사가 병행되는 만큼 광주시가 지하안전 관리의 컨트롤타워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하수시설은 싱크홀 단일 원인 중 비중이 가장 높은 만큼, 장기적 플랜에 따라 집중 점검해 구조개선을 서두르고, 대형 사고 원인이 되는 지하공사 관리도 강화해야 한다"며 "단기 복구 위주의 대응을 넘어 지속 가능한 도시안전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