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영주 기자정부가 의대생 복귀 시한으로 정한 지난달 31일 기준 전국 40개 의대 학생의 복귀율이 96.9%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적자는 총 2명에 그쳤다.
교육부는 1일 '의대 모집인원 조정 관련 정부 입장'이란 제목의 보도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대학별 복귀 현황을 보면, 인제대(24.2%)를 제외한 39개 대학은 90%가 넘는 복귀율을 기록했다.
경상국립대(99.7%), 아주대(99.6%), 연세대(93.8%), 연세대 원주(91.9%)를 뺀 나머지 35개 대학은 모두 복귀율 100%를 보였다.
인제대 학생 370명은 복학 신청원은 제출했지만, 4일까지 내야 하는 등록금을 내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혀 제적 예정자로 분류됐다. 이들은 인제대 의대생의 74.6%, 전체 의대생의 2.5%에 해당하는 규모다.
대학별 기타 미복귀자는 대부분 군입대 대기자라고 교육부는 설명했다.
교육부는 "정부는 의대생 복귀를 통해 의대 교육 정상화가 시작됐다고 생각한다"며 "대학별 의대의 수업 진행 상황을 살펴보고 의대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 한국의대·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 등 의학교육계와 종합적으로 논의해 모집인원 조정 방향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의대가 있는 40개 대학 총장 모임인 의총협은 39개 의대 학생이 사실상 전원 복귀한 데 대해 "쉽지 않은 결정이었음에도 학업을 이어가기로 용기를 내주신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린다"고 밝혔다.
의총협은 "대학은 여러분을 기다리며 충실하게 수업을 준비해 진행하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여러분이 복학만 한 채 수업에는 참여하지 않을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있다"며 "이러한 일은 절대 일어나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이어 "이제 40개 의대는 2025학년도 교육을 정상적으로 시작한다"며 "모든 수업 운영과 학사 처리는 학칙에 따라 원칙적으로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올해는 지난해와 달리 학사 유연화 조치를 시행하지 않을 것이며, 등록 후 수업에 참여하지 않을 경우 학칙에 따라 유급이나 제적이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대학은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을 철저히 보호할 것이지만 정당한 학업과 수업을 방해하는 행위에 대해서는 학칙에 따라 엄정하게 처분할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