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보건/의료

    '사직 1년' 전공의 56%, 일반의로 병의원 재취업

    사직 레지던트 9222명 중 5176명 의료기관 재취업
    3023명이 의원급 기관…상급종합병원 88명(1.7%) 뿐

    연합뉴스연합뉴스
    정부의 의과대학 증원 발표에 반발해 1년 전 병원을 떠난 전공의 절반 이상이 일반의로 의료기관에서 근무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선민 조국혁신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수련병원에서 사직했거나 임용을 포기한 레지던트 9222명 중 지난달 기준 5176명(56.1%)이 의료기관에 재취업했다.

    지난해 2월 6일 정부가 의대 입학 정원 2천명 증원을 발표한 이후 같은 달 19일 전공의들은 집단 사직서를 제출하고 다음 날부터 근무를 중단했다.

    지난해 6월 정부가 사직서 수리 금지 명령을 철회하면서 7월부터 병원별로 사직 처리가 됐고, 전공의들은 일반의로 재취업할 수 있게 됐다.

    전공의들의 재취업 의료기관을 종별로 보면, 5176명 중 58.4%인 3023명이 의원급 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다. 이 중 3분의 2(67%)가 서울(998명), 경기(827명), 인천(205명) 등 수도권 의원에 재취업했다.

    상급종합병원에 재취업한 전공의는 1.7%인 88명에 그쳤고, 병원 815명(15.7%), 종합병원 763명(14.7%), 요양병원 383명(7.4%), 한방병원 58명(1.1%) 등이다.

    사직 레지던트 9222명 중 4046명은 의료기관에 재취업하지 않은 상태다.

    전공의들의 사직과 재취업은 전국 의료기관 인력 현황에도 영향을 미쳤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전국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일반의는 모두 1만684명으로, 전공의 사직 전인 2023년 말 6041명에서 76.9% 급증했다.

    의원에서 근무하는 일반의가 4073명에서 7170명으로 76.0% 늘고, 병원에서 일하는 일반의는 1년 새 204명에서 842명으로 4배 이상 늘었다. 반면 전국 의료기관의 인턴은 2023년 말 대비 96.4%, 레지던트는 88.7% 급감했다.

    올해 말 배출되는 전문의 숫자도 소수일 것으로 보인다. 전공의 사직으로 올해 전문의 시험 1차 합격자가 지난해의 18% 수준으로 급감한 탓이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