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외교장관회의. 외교부 제공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들어선 후 첫 한미일 외교장관회의가 독일 뮌헨안보회의에 참석을 계기로 열렸다. 한미일 외교장관은 한미일 협력 증진 방안에 공감하는 한편 대만의 적절한 국제기구 참여에 지지를 표명했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15일(현지시간) 마르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 및 이와야 다케시 일본 외무대신과 한미일 외교장관회의를 개최했다.
외교부는 3국 장관이 한미일 협력 증진 방안, 북한·북핵 문제 대응, 지역 정세, 경제협력 확대 방안 등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한미일 외교장관은 공동성명에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따른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3국 장관은 또 "증가하는 북러 간 군사협력에 대해 심각한 우려와 공동 대응 필요성을 표명하고 모든 급에서 긴밀한 정책 공조를 통해 3국 간 노력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들은 "강력한 안보 협력을 포함해 한미동맹과 미일동맹의 힘을 강화할 필요성을 강조했다"며 "3자 훈련 시행 및 한국군, 미군, 일본 자위대의 역량 강화를 포함해 방위 및 억제를 제고하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했다"라고 밝혔다.
더불어 "미국 측은 '핵 역량'을 포함한 필적할 수 없는 미국의 군사력으로 뒷받침되는 대한민국과 일본에 대한 미국의 방위 공약이 철통같음을 재강조했다"며 미측은 한미동맹과 미일동맹을 통한 확장억제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했다.
3국 장관은 또 남중국해를 포함한 인도 태평양에서 힘에 의한 어떠한 일방적 현상 변경 시도에 강력 반대했다.
대만해협에서 평화와 안정 유지 중요성도 강조하면서 "대만이 적절한 국제기구에 의미있게 참여하는 데 대한 지지"도 표명했다.
이외에 한미일 협력의 지평이 외교안보뿐 아니라 경제 안보와 인공지능, 양자, 반도체 등 첨단기술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며 이를 확장하기 위해 각급에서의 소통을 활발히 이어가기로 했다.
이와 함께 신뢰할 수 있는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을 위한 공조 노력을 계속하고 액화천연가스(LNG) 등 에너지 분야에서 3국간 협력을 확대할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외교부는 이번 3국 외교장관회의가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처음 개최된 점에 의미를 두고 "한미일 협력을 계속 발전시켜 나가자는 3국 공동 의지를 확인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협의하는 계기가 됐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