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군 최고 수사기관인 국방부 조사본부의 본부장 등 핵심 직위자 최소 4명이 12·3 내란 사태와 관련해 검찰에 입건돼 수사를 받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12일 군 소식통에 따르면 박헌수(소장·육사 48기) 본부장과 김상용(대령·학군 32기) 차장, A(대령) 수사단장, B(중령) 전 상황실장이 입건된 상태다.
조사본부 내에는 이들 외에도 12·3 사태로 입건된 인원이 더 있을 수 있다는 얘기가 나돌지만 당사자들이 입을 닫고 있어 구체적인 내용은 파악되지 않고 있다.
박 본부장과 김 차장은 조사본부의 서열 1·2위이며 A단장과 B실장도 핵심 요직을 맡고 있다.
박 본부장은 12·3 당일에 방첩사령부의 요청을 받고 수사관 10명을 파견하고, 해군과 공군 군사경찰에도 수사관 10명씩 파견할 것을 요청한 혐의 등을 받고 있다. 박 본부장은 당시 여인형 방첩사령관과 육사 동기이다.
A단장은 박 본부장의 지시를 받고 수사관 파견을 지휘하고, B실장은 해·공군 군사경찰에 수사관 파견 지시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차장의 경우는 이와 다르게, 12·3 사태의 민간인 기획자인 노상원(육사 41기) 전 정보사령관과 연루된 것으로 전해졌다.
노 전 사령관은 정보사령부 내 불법비밀조직인 '수사 2단'을 설치하려 했고, 여기서 김 차장은 군사경찰을 담당하는 팀의 팀장으로 지명됐다.
김 차장은 조사본부 수사단장 등을 거친 예비역 장교인 김용군(학군 24기) 씨와의 인연으로 노 전 사령관과 연결된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는 앞서 지난해 12월 19일 박 본부장과 김 차장에 대해 일반 행정을 제외한 수사 업무로부터 배제 조치한 상태다.
국방부는 당시 12·3 사태를 자체적으로 조사할 태스크포스(TF)를 만들어 김 차장을 TF장에 임명했지만 연루 사실이 알려지자 TF를 해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