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서울 여의도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 '12·3 내란사태' 관련 긴급 현안질의에 박안수 육군참모총장을 비롯한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 곽종근 특전사령관 등 군 관계자들이 출석한 가운데 열리고 있다. 윤창원 기자12.3 내란 사태의 주력 부대를 지휘한 곽종근 육군 특수전사령관은 10일 이번 사태의 전말에 대해 다른 관련자들이 서로 말을 맞춘 것처럼 보인다고 주장했다.
곽 사령관은 이날 오후 국회 국방위원회 현안질의에서 박범계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질의답변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그는 박 의원이 "(다른 관련자들의) 말이 맞춰서 있어서 검찰 조사에서 '(비상계엄 계획을) 12월 1일에 사전에 알았다'는 내용을 말하지 않았다고 (나에게) 얘기했다. 맞느냐"고 묻자 "그건 사실"이라고 답변했다.
그는 성일종 국방위원장이 "말이 맞춰져 있었던 같다인가, 맞춰져 있었다인가"라고 묻자 "맞춰져 있는 것으로 제가 느꼈다고 말씀 드렸다"고 했다.
그는 어떻게 해서 그런 느낌을 받았느냐는 추가 질문에 "오늘 대부분 사람들(국회 출석 군 관련자)이 'TV 보고 비상계엄령이 내려졌다는 것을 그때 최초로 인식했다'고 말씀 하셔서"라고 답했다.
그는 이날 국회에서, 비상계엄 계획을 계엄이 선포되기 이틀 전인 지난 1일 김용현 당시 국방부 장관으로부터 비화폰을 통해 전해 들었다고 증언했다.
곽 사령관은 앞서 검찰 조사에선 이런 내용을 진술하지 않았다고 했고, 이는 다른 관련자들이 서로 말을 맞춘 것처럼 보였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는 자신도 이들과 합치된 증언을 하는 게 유리할 것이라 한때 판단했겠지만, 결국 처벌 수위가 올라갈 위험을 무릅쓰고라도 보다 솔직한 증언을 한 것으로 풀이된다.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이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하고 있다. 박종민 기자이에 따라 여인형 국군방첩사령관과 문상호 국군정보사령관 등 다른 핵심 관련자들도 곽 사령관과 마찬가지로 사전 인지 또는 사전 공모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한편 곽 사령관은 비상계엄 계획을 사전에 알게 되자 그 배경에 대해 '북풍'(北風)으로 이해했다고 밝혔다.
그는 박 의원이 "북풍이 뭐냐는 내 질문에 드론(무인기)이든 포든 (북한을) 때리는 것(이라고) 그렇게 표현했다"고 하자 "그런 상황으로 이해했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김용대 드론작전사령관(육군 소장)이 '평양 무인기 사건'의 주체에 대해 "확인해 줄 수 없다"며 시인도 부인도 하지 않은 것은 "(실행)했다는 얘기"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곽 사령관은 또 국회 본회의장 문을 부수고 들어가 국회의원들을 끄집어내라는 윤석열 대통령 지시를 거부한 것은 "많은 인원이 다칠 것으로 판단했고 그게 불법적인 행위라는 것을 제가 명확히 알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는 앞서 국방위 정회 기간 중에 박 의원에게 공익신고 형식으로 이번 사태의 자초지종을 증언했다. 이 자리에서 그는 국회 본회의장 진입이 실행됐을 경우 "이렇게 가면 무수히 다치고 다 죽는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