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국민의힘이 12.3 내란 사태에 따른 윤석열 대통령의 퇴진 방법을 놓고 갑론을박만 거듭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10일 오전 나흘 뒤인 14일로 예정된 윤 대통령 2차 탄핵안 표결 참여 여부와 탄핵 혹은 하야, 하야할 경우 시점과 방식 등에 대해 논의 중이다.
표결 참여로 기우는 듯 아닌 듯…김상욱 "탄핵 통과에 충분한 숫자"
10일 당내에서도 친한계 의원들을 중심으로 '표결 불참, 탄핵 반대' 당론을 유지할 수 없다는 입장들이 공개적으로 나오고 있다. 지난 7일 집단 퇴장에 따른 여론 악화를 더 이상 외면할 수 없다는 인식에서다.
앞서 국민의힘은 지난 7일 윤 대통령 탄핵안 표결 직전 집단 퇴장했다. 안철수·김예지·김상욱 의원을 제외한 나머지 국민의힘 의원들은 표결에 불참했고, 탄핵안은 정족수 미달로 폐기됐다.
김상욱 의원은 이날 오전 "반헌법적·반민주적 비상계엄을 기획한 대통령에 대한 차회 탄핵 표결에 찬성한다"며 "함께 논의하고 있는 의원들이 계신다. 단언해 이야기할 수는 없지만 탄핵 통과에 충분한 숫자"라고 말했다.
배현진 의원도 같은날 "이번 주 표결 참여합니다"라고 자신의 SNS에 썼다. 다만 가·부 여부는 밝히지 않았다.
조경태 의원도 "윤 대통령이 이번 주 안에 퇴진하지 않으면 토요일(14일)에 탄핵의 방식으로라도 직무 정지를 시켜야 한다"며 "당론화하기보다는 자유투표를 하는 것이 현명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자유투표로 가면 가결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국민의힘 내에서는 표결에 참여한다면 탄핵안 가결에 기울 것으로 보고 이번에도 표결에 불참해야 한다는 기류도 여전히 상존한다.
다만 윤 대통령에 대한 '12.3 내란 상설특검법' 표결은 자율에 맡기기로 했다. 특검법은 재적 의원 287명 중 찬성 210표, 반대 63표, 기권 13표로 통과됐다.
연합뉴스속 보이는 하야 제안…野는 연내 퇴진만 수용
윤 대통령이 하야할 경우에 대해서는 2월 하야·4월 대선, 3월 하야·5월 대선 두 가지 방안이 보고됐다.
이같은 방안이 나온 데에는 '질서 있는 퇴진'이라는 기조 아래 다음 대선까지 최대한 시간을 벌어보려는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 여론이 압도적으로 높은 가운데 탄핵에 동참하지 않으면서 탄핵에 준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이 TF 판단이다.
다만 당내에서는 윤 대통령이 어떤 방식이든 자발적으로 임기 단축에 동의하지는 않을 거라는 우려가 크다.
또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2심 선고도 내년 상반기에 예정돼 있는 만큼, 대선을 늦출 수록 국민의힘에 유리하다.
하지만 이같은 제안을 민주당이 받아들일 가능성은 높지 않다. 민주당은 윤 대통령의 즉각적인 하야, 늦어도 연내 퇴진해야 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친윤계, 권성동 추대…친한계, 후보 못 찾아 '반발'만
윤창원 기자
국민의힘은 신임 원내 사령탑을 놓고도 계파전을 이어가고 있다.
친윤계가 다수 포진한 중진 의원들은 신임 원내대표에 친윤계 5선 권성동 의원을 추대하기로 했다.
친한계는 이같은 움직임에 반발하며 이에 대항할 후보를 다시 물색 중이다. 당초 친한계 내에서는 신임 원내대표에 김성원 의원이 거론됐지만 김 의원은 이날 불출마 의사를 밝혔다. 김도읍 의원 역시 출마를 고사 중이다.
신임 원내대표는 2차 탄핵안 표결 전인 12일 결정된다. 친윤계 원내대표가 다시 '표결 불참'을 당론으로 확정 지을 경우 한동훈 대표가 이를 뒤집는 등 단일대오가 깨질 가능성도 거론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