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1기 신도시 10% 안팎 '선도지구' 재정비…다음 달 발표

1기 신도시 10% 안팎 '선도지구' 재정비…다음 달 발표

27일부터 특별법 시행…특위 출범·LH·HUG 등 7곳 지정해 추진 지원
선도지구 갯수는 신도시별 전체 정비 물량의 약 5~10% 내외 검토 중

1기 신도시 경기도 고양시 일산의 아파트 단지. 연합뉴스1기 신도시 경기도 고양시 일산의 아파트 단지. 연합뉴스
1기 신도시 등을 재정비하기 위해 지난해 말 제정한 '노후계획도시 정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하 특별법)'이 오는 27일부터 본격 시행된다.

이에 발맞춰 정부는 관련 기구를 정비해 1기 신도시 지자체별 '선도지구' 선정 규모와 기준 등을 다음 달 공개할 방침이다.
 
25일 국토교통부는 특별법 시행에 맞춰 노후계획도시정비특별위원회를 구성하고, 노후계획도시정비지원기구를 지정하는 등 노후계획도시정비 추진체계를 완성했다고 밝혔다.

특별법은 조성한 지 20년 이상 지난 노후계획도시에 △안전진단 면제 △용적률 상향 △용도지역 변경 등 각종 혜택을 부여해 통합정비하도록 유도하는 법이다.

노후계획도시를 정비하려는 지방자치단체는 10년 단위로 노후계획도시별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시장·군수 등 지정권자가 특별정비계획을 수립해 특별정비구역을 지정하는 과정을 거쳐 재정비 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

이 특별정비구역에는 특별법에 따른 각종 혜택이 적용된다. 특별정비구역 내 주거단지를 통합정비하면 안전진단을 면제받고, 법적 상한 용적률의 150% 상향(제3종일반주거 기준 300%→450%) 및 용도지역 변경도 가능하다.

또 국토연구원에 따르면 1개 아파트 단지를 기본단위로 하는 기존 재건축 방식과 달리 사업규모가 확대돼 공사비용이 줄면서 단독 재건축보다 사업비를 약 11%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처럼 노후계획도시를 정비하는 일련의 과정을 심의하기 위한 '노후계획도시정비특별위원회'도 법 시행과 동시에 출범, 2년 임기를 시작한다. 국토부 장관이 위원장을 맡고, 정부위원 13명, 민간위원 16명 등 총 30명으로 구성된다.

특별위원회는 다음 달 중 첫 회의를 열어 운영세칙과 그간의 노후계획도시 정비 정책의 추진경과 및 향후 계획을 논의할 계획이다. 오는 9~10월에는 국토부가 수립하고 있는 기본방침을 전국 지자체에 공개해 의견을 수렴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뒷받침하도록 한국토지주택공사, 주택도시보증공사, 한국국토정보공사, 한국부동산원, 국토연구원, 한국교통연구원, 한국법제연구원 등 총 7곳을 노후계획도시정비지원기구로 지정한다.

국토부는 특별법 시행에 따라 이처럼 특위와 지원기구 등 추진체계를 갖춘 만큼, 곧 구체적인 사업에 착수할 계획이다. 2027년 첫 착공, 2030년 입주시키겠다는 목표 아래 1기 신도시 지자체별 선도지구 선정 규모, 기준 등에 대한 표준안을 다음 달 공개하기 위해 지자체와 논의 중이다.

국토부 최병길 도시정비기획준비단장은 "선도지구는 지역별 주택공급 여건, 이주단지 공급계획 등을 검토해 전세시장 불안을 초래하지 않는 범위에서 가능한 다수를 지정하고자 한다"며 "각 신도시별로 총 정비대상 물량(주택재고)의 약 5~10% 수준에서 지자체와 선도지구의 규모‧개수 등을 협의 중"이라고 설명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0

0

전체 댓글 2

새로고침
  • NAVER아머라카노2020-06-23 16:46:46신고

    추천0비추천0

    그럼 대통령 입으로 북한에 있는 국군포로 송환에 대해서 뭐라도 한 마디 해보았는가? 남한에는 인민군포로 미전향 장기수가 한 명이라도 남아 있는가? 북조선에는 입도 뻥끗 못하고 눈치보며 덜덜 떨거면 뭣하러 촛불을 들고 권력을 탐했는가? 지금이라도 판문점 38선에 서서 당당히 외치고 오너라!! 국군포로 돌려달라고!!! 제대로 하는게 뭔가? 정녕 그대는 김정은의 하수인 인가? 도대체 누구를 위한 대통령인가?

  • NAVER설원2020-06-23 16:08:25신고

    추천1비추천0

    뜻은 좋은데 ...국민이 원하는것은 보여주기식 일회성 이벤트가 아닌 지속적인 정책 추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