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내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황진환 기자대통령실은 1일 정부가 고수해온 '의대 2천 명 증원'에 대해 "2천명 숫자가 절대적 수치란 입장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대통령실 성태윤 정책실장은 이날 KBS TV에 출연, '2천명 숫자가 협의 대상이 될 수 있단 것이냐'는 사회자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다만 성 실장은 "오랜 기간 동안 절차를 거쳐 산출한 숫자이기 때문에 이해 관계자들이 반발한다고 갑자기 1500명, 1700명 이렇게 근거 없이 바꿀 순 없다"며 "그래서 (의료계가) 집단행동을 할 것이 아니라 합리적 조정안을 제시해 주면 낮은 자세로 이에 대해 임하겠단 뜻"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성 실장은 "정부는 2천명 숫자에 매몰되지 않고 의대 증원 규모를 포함해 더 좋은 의견과 합리적 근거가 제시된다면 정책을 더 좋은 방향으로 바꿀 수 있다"며 "유연하고 탄력적으로 전향적인 입장에서 의대 증원 문제를 검토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의대 2천명 증원 방침을 둘러싼 의정 갈등이 장기화되고 있는 1일 서울 중구 서울역에서 시민들이 윤석열 대통령의 의료 개혁과 관련한 대국민 담화를 보고 있다. 박종민 기자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오전 대국민 담화에서 의료계에 대해 "증원 규모를 2천 명에서 줄여야 한다고 주장하려면 집단행동이 아니라, 확실한 과학적 근거를 가지고 통일된 안을 정부에 제시해야 마땅하다"며 "더 타당하고 합리적인 방안을 가져온다면 얼마든지 논의할 수 있다"고 조정 가능성을 열었다.
성 실장은 '증원 규모 재검토를 위한 전제 조건'에 대해선 "(의료계가) 합리적 안을 제시해 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그렇게 하는 과정에서 불법 집단행동은 자제해 주시고 환자 곁으로 돌아와 주시길 부탁드린다"고 호소했다.
성 실장은 또 윤 대통령이 담화에서 제안한 '사회적 협의체'와 관련해선 "의료 개혁이 전 국민에 미치는 영향이 있기에 국민과 의료계, 전문가, 환자, 소비자 단체, 정부 등 다양한 구성원이 참여하는 협의체"가 될 것으로 설명했다.
이어 전공의들과 협의를 위한 진행 상황에 대해선 "전공의들과 대화하기 위해 문자도 남기고, 제3자를 통한 연락도 취하고, 또 날짜와 장소를 정해 기다리기도 하는 등 여러 노력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성 실장은 총선 이후 의료 개혁 추진 방향에 대해선 "의대 정원 증원은 의료 개혁의 필수이지만 이것만으로 되지 않는다"며 의료사고 특례법 제정, 필수·지역 의료 관련 투자 확대, 전공의 수련 환경 개선, 병원의 전문의 중심 진화 등을 과제로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