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고속도로·철도 태양광, 서울 45% 가구 쓸 전력 가능

고속도로·철도 태양광, 서울 45% 가구 쓸 전력 가능

핵심요약

녹색연합 '도로에서 만나는 재생에너지' 보고서

상록수역 방음벽 태양광(왼쪽)과 동부간선도로 방음터널 태양광. 녹색연합 제공왼쪽부터 상록수역 방음벽 태양광과 동부간선도로 방음터널 태양광. 녹색연합 제공
전국의 고속도로와 철도 주변에 태양광발전 패널을 설치하면 최대 연간 발전량이 서울시 가구 45%를 충족한다는 시민단체의 분석 보고서가 나왔다.

녹색연합은 23일 낸 '도로에서 만나는 재생에너지' 보고서에서 방음벽, 중앙분리대, 성토비탈면 등 전국 고속도로·철도 유휴부지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해 연간 6341.51GWh까지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남해고속도로(목포~부산 273.6km)와 경부-호남선 철도(서울~목포 418km) 두 구간을 표본으로 추산한 결과다. 교량·터널·음영지를 제외한 패널 설치 적격 구간은 남해고속도로 197km(양방향 합산), 경부-호남선 341km(양방향)였다.

이어 일부 전철역에 윤용 중인 현행 태양광 패널의 발전 잠재량 등을 원용해 잠재 발전용량을 추정했다. 남해고속도로는 최대 274MW, 경부-호남선은 최대 474MW로 나타났다.

이를 고속도로에 10배, 철도에 5배 각각 곱해 전국 단위 고속도로·철도의 발전용량 잠재치가 추산됐다. 전국 고속도로와 철도 총연장 대비 남해고속도로 비중은 5.6%, 경부-호남선은 10%다. 녹색연합은 이를 역산하되, 보수적으로 반토막내 추정했다.

도출된 전국 고속도로·철도 합산 발전용량 5110MW에 일평균 3.4시간 발전이 이뤄진다는 가정 아래 도출된 1년치 발전량이 6341.51GWh다. 이는 서울특별시기본통계 2020년판에 따른 서울시 주택용 전력사용량 1만3982.706GWh의 45%라는 게 녹색연합의 설명이다.

녹색연합은 "재생에너지로의 전환 과정에서 생태계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부지로 도로·철도 유휴부지를 주목했다"며 "부지 매입비용 문제나 지역 주민 거부감에서 자유롭고, 지역 간 에너지 불평등을 해소할 분산형 에너지 시스템으로 기능할 수 있다"고 밝혔다.

도로·철도 방음벽·중앙분리대·성토비탈면 유휴부지 활용 외에도, 방음터널, 고속도로 나들목, 폐선 구간, 주차장, 역사 등을 최대한 활용해 추가적인 발전이 가능하다고 녹색연합은 강조했다.

그러면서 "새정부도 고속도로 잔여지와 경관과 수용성이 양호한 부지를 적극 활용한 태양광 설치를 확대할 계획으로 알려져있다"며 "사회적 갈등을 방지하고 주민 수용성을 회복하기 위해서도 도로와 철도 유휴부지 중심의 설비 확대가 시급하다"고 밝혔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0

1

전체 댓글 0

새로고침

    고독 死각지대, 고립청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