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삼국지'는 고대 한반도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조선판 '삼국지'(사진=인민화보 제공)

 

서진(西晉)시대 사학자 진수(陳壽)가 쓴 '삼국지'는 중국의 역사 경전이다. 220년에서 280년까지 삼국 시기의 위(魏), 촉(蜀), 오(吳)의 역사를 기록한, 유가에서 추앙하는 사학 경전 중 하나다. 고증에 따르면 6-7세기 '삼국지'가 조선반도(한반도)에 전해졌고 이때부터 조선반도의 통치자들은 중국 삼국 시기의 역사 문화를 잘 알게 됐다.

'고려사'에 따르면 북송 철종 황제가 고려에 진귀한 서적이 많다는 말을 듣고 목록을 작성하고 구했다고 한다. 목록 중에는 '제갈량집(諸葛亮集)' 24권도 있다.

이로써 당시 고려 통치계층이 삼국의 역사와 문화를 중요시했을 뿐 아니라 송나라 시기의 절판된 고서를 소장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고려 말 문신 윤소종은 공민왕에게 제갈량의 '출사표(出師表)'에 등장하는 '어진 신하를 가까이 하고, 소인을 멀리 하라(親賢臣, 遠小人)'는 말을 인용해 간언했다.

그는 국가의 흥망을 결정하는 것은 군주가 총애하는 사람의 좋고 나쁨에 달려있다고 봤다. 1392년 조선왕조가 건립됐다. 유교를 국교로 삼은 조선 왕실은 중국 역사에서 왕조의 흥망성쇠를 교훈으로 삼았고 '삼국지'의 역사적, 정치적 가치를 매우 중요하게 여겼다. 개국 원년 공조전서 이민도가 조선 태조에게 올린 상서에서 '어진 신하를 가까이 하고, 소인을 멀리 하라'는 구절을 다시 한 번 인용해 태조에게 충신과 간신을 구분하고 정무에 힘쓰며 백성을 사랑하도록 권했다.

1400년 조선 정종은 경연(제왕에게 역사를 강론하기 위해 특별히 설치된 어전 강의)에서 '삼국지·제갈량전'에 등장하는 '순명책실(循名責實)'이라는 말을 놓고 여러 대신들과 심도있게 토론하고 국가 관리는 실사구시해야 한다는 것을 인식했다.

1413년 조선 태종은 왕실에서 보기 위해 명나라 사신으로 간 진준에게 '삼국지' 등 역사서를 구입해 돌아오도록 했다. 1422년 조선 세종은 금천부원군 박은에게 내린 제문에서 "박은은 제갈량 같은 어진 신하다"라고 칭찬했다. 이로써 조선 통치자들이 '삼국지' 등장인물에 대한 이해도가 높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조선 예종은 '이동잡어(異同雜語)'에 기록된 동한 말기의 명사 허소(許劭)가 삼국 위나라 건국의 기초를 다진 조조(曹操)에 대해 '치세지능신, 난세지간웅(治世之能臣 亂世之奸雄, 평화로울 때는 유능한 신하, 난세에는 간교한 영웅)'이라고 평가한 것을 토론 제목으로 삼고 문인과 유생들에게 시를 지어 대결하도록 했다. 이후 조선왕조는 삼국의 역사에 관한 내용을 책론과 과거의 주제로 삼는 경우가 많았다.

만주어 '삼국지' 조선 번역본(사진=인민화보 제공)

 

이후 명나라 소설가 나관중이 쓴 '삼국연의(三國演義)'가 유입되면서 조선반도에 다시 한 번 '삼국 붐'이 불었다. 또한 '삼국지'는 조선왕조가 중국 등 한자문화권 국가와 소통과 교류를 하는데 중요한 외교 도구로 사용됐다. 1634년 후금 대신 정명수(鄭命壽)는 조선 사신에게 몰래 서신을 보내 '삼국지' 등 서적을 구해달라고 했다. 1672년 조선을 방문한 청나라 사신은 역관에게 ''삼국지'를 잘 이해한 자'를 만나보고 싶다고 했다. 1676년 숙종은 '삼국지'를 잘 이해한 관리 류승원에게 청나라 사신 접대를 맡겼다. 1683년 베이징(北京)을 방문한 조선 역관은 만주어를 몰라 매우 불편해 청나라에서 만주어로 된 서적과 번역본을 대량 구입했다. 이 가운데 '삼국지' 만주어 사본도 10권도 있었다.

지금도 한국인은 '삼국지'로 대표되는 중국 삼국의 역사와 문화를 좋아하고 '삼국지' 관련 영화와 드라마, 게임 등 문화상품도 인기를 얻고 있다.

※본 기사는 중국 인민화보사에서 제공했습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