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DLS 피해자 "소심한 사람에게 딱이라더니...2억 날아갔다"



사회 일반

    DLS 피해자 "소심한 사람에게 딱이라더니...2억 날아갔다"

    "DLS, 손실 없단 말에 2억 투자했는데"
    다른 은행은 판매 중단한 위험 상품, 왜?
    '공격형 투자성향' 직원이 계약서 대리 체크
    피해자들, VIP고객 아니고 고령 고객 많아..

    ■ 방송 :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FM 98.1 (07:3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익명(DLS 투자 피해자)

    여러분, DLS라고 아십니까? 은행에 갔다가 이 DLS라는 금융 상품에 투자하라는 권유 들어보신 분이 있을 겁니다. 이게 뭔고 하니 일종의 펀드인데요. 해외 금리에 연동해서 수익이 발생하는 해외 금리 연동형 파생 결합 상품이라는 겁니다.

    즉 어느 나라 금리와 연동을 해서 그 나라의 금리가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지만 않으면 수익이 나고 반대로 기준치 이하로 금리가 떨어지면 손실이 발생하는데 희한하게도 손실률이 수익률보다 훨씬 크게 설계돼 있는 그런 상품입니다. 그런데 최근 몇 달 사이 유럽의 금리가 급락했죠. 그러면서 투자자들이 큰 손실을 입게 됐고요. 투자 금액은 총 8200억 원대. 손실률은 무려 95%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쉽게 말해서 100만 원 투자해서 5만 원이 남았다는 얘기죠.

    물론 투자를 하면 잃을 수도 있고 얻을 수도 있는 겁니다마는 문제는 은행이 이 상품을 판매할 때 이런 위험성에 대해서 충분히 고지를 했느냐. 이 부분이겠죠. 저희가 DLS 투자자 다수를 접촉해 봤는데 대답은 일관됐습니다. “매우 안전한 상품이다” 라는 설명을 들었다는 겁니다. 피해자 가운데는 노인이 많습니다. 투자하셨던 분 중에 한 분의 얘기를 직접 들어보죠. 익명으로 연결합니다. 선생님, 나와 계세요?

    ◆ 피해자> 네, 안녕하세요.

    ◇ 김현정> 언제 얼마를 투자하셨어요?

    ◆ 피해자> 5월 초에 이사 비용으로 준비해 놨던 걸 남편 1억, 저 1억 이렇게 들어갔어요.

    ◇ 김현정> 총 2억.

    ◆ 피해자> 네.

    ◇ 김현정> 어떤 식으로 투자를 권유받으셨어요, 은행에서?

    ◆ 피해자> 이 상품은 너무 좋다고. 그래서 제가, 저는 잘 몰라서 그냥 안 하겠다고. 이사 비용이라 우체국에 그냥 예금한 상태였거든요. 그런데 원금 손실 전혀 없고 이 지역의 고령자나 퇴직자인 분들이 다 안전해서 가입한 상품이니까 걱정 안 하셔도 된다고. 사모님처럼 소심한 사람한테 너무 좋은 상품이고 이 상품은 독일이 망하지 않으면 절대 손실 날 일이 없고 사모님 아시죠? 독일보다 우리나라가 더 위험한 거. 독일이 더 안전하니까 무조건 넣으시면 됩니다라고 말했어요.

    ◇ 김현정> ‘소심한 사람에게 안성맞춤인 상품이다. 독일이 망하지 않는 한 손실이 없다’ 라는 얘기까지 했어요?

    ◆ 피해자> 네, 그런데 이게 모든 지점이 비슷하더라고요.

    ◇ 김현정> 그런데 제가 보니까 이 DLS 상품은 넣어두기만 하면. 그러니까 만기 6개월만 지나면 수익률 5%가 난다. 그러니까 독일 금리가 6개월 동안 비정상적으로 떨어지지만 않으면 5% 보장받는 거예요. 이 소리를 들으신 거군요?

    ◆ 피해자> 네, 그냥 은행이라서 그런 좋은 상품이 있다니까 별 의심 없이. 그리고 말을 너무 잘하셔가지고 다 그렇게 해서 가입하게 된 거예요.

    ◇ 김현정> 독일이 망하지 않는 한, 6개월 내에 망하지 않는 한 아무 일이 없을 거라고 했는데 독일의 금리는 몇 달 사이에 급락을 했습니다. 즉 이 상품이 걸었던 그 조건에서 벗어난 거죠.

    ◆ 피해자> 네.

    ◇ 김현정> 손실이 얼마나 발생했습니까?

    ◆ 피해자> 3월달 상품은 (조건이) -0.2%고 5월 제가 가입했을 때는 -0.25%고 5월 말은 또 -0.3% 미만으로 이렇게 돼 있더라고요.

    ◇ 김현정> 달마다 조건이 다 달랐어요, 투자자의 조건이?

    ◆ 피해자> 네, 그러니까 이 상품은 그게 문제였고 저희는 (독일 금리가) -0.25% 미만으로 내려가지 않으면 괜찮고 0.1이 떨어질 때마다 원금의 25%씩이 손실이 나는 그런 상품이었더라고요.

    ◇ 김현정> 잠깐만요. 독일 금리가 계약하던 시점에서 -0.25% 밑으로 빠지면 그때부터 원금의 25%씩을 빼요?

    ◆ 피해자> 네.

     

    ◇ 김현정> 손실이 발생해요?

    ◆ 피해자> 떨어질 때마다 원금의 25%씩이 손실 나는 거였더라고요.

    ◇ 김현정> 그럼 -0.25 밑으로 떨어지지 않고 6개월 채우면 연 5% 수익 나고?

    ◆ 피해자> 네. 그런데 이게 뭐 10년 동안 자기네가 (시뮬레이션을) 돌려보니까 -0.19를 떨어진 적이 단 한 번도 없기 때문에 -0.25라는 건 신의 고지라 절대로 떨어지지 않는다고 얘기했거든요.

    ◇ 김현정> 그래서 독일이 망해야 떨어지는 거다. 이렇게 얘기했군요.

    ◆ 피해자> 네.

    ◇ 김현정> 그런데 떨어졌죠, 독일 금리가.

    ◆ 피해자> 네.

    ◇ 김현정> 선생님은 얼마나 손실을 보셨습니까?

    ◆ 피해자> 저희는 -0.65 되면 0이에요. 지금 0.71까지 떨어졌으니까 저희는 그냥 0이에요.

    ◇ 김현정> 2억 투자하셨는데 그러면…

    ◆ 피해자> 원금이 없어요.

    ◇ 김현정> 세상에… 아니, 저는 잘 이해가 안 가는 게 6개월 동안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지 않으면 수익률이 고작 5%인데 어떻게 손실은 그렇게 크게 설계가 되어 있죠?

    ◆ 피해자> 그게 너무 이상하고요. 저희는 5월 초에 가입을 했는데 3개월 정도 만에 원금이 다 없어진 거예요.

    ◇ 김현정> 떨어질 때 조짐이 이상하다 싶어서 은행에 달려가보지 그러셨어요?

    ◆ 피해자> 가봤어요. 그랬더니 천재지변이라는 거예요. 그 담당 PB가, ‘천재지변인데 어떻게 하겠어요’ 라는 식으로 대응을 해서 저희는 너무 깜짝 놀랐고. 그래서 그러면 이걸 어떻게 해야 돼요? 판단을 해 주셔야 되잖아요. 손실이 날 때 다 환매하세요라든지 이런 말을 해 주시면 우리가 뭐를 하겠다 그랬더니, 저희는 아직까지 만기가 안 됐고 그건 고객님이 선택하셔야 되고 위에서 지침이 안 내려왔다는 말만 반복하실 뿐인 거예요. 다른 은행에서는, IB뱅크 그런 데서는 3월부터 판매를 중단한 상품을 왜 팔았냐고 그랬더니 자기네는 그렇게 생각 안 했고 앞으로도 또 변화가 어떻게 될지 몰라서, 계속 그런 똑같은 말만 반복하더라고요.

    ◇ 김현정> 똑같은 상품을 다른 은행에서는 판매 중단했다고 해요?

    ◆ 피해자> 네, 뉴스에 나왔더라고요. 이게 너무 위험해서 그 은행에서는 3월에 중단했고.

    ◇ 김현정> 다른 은행에서는.

    ◆ 피해자> 다른 2개의 은행에서는 아예 처음부터, 유럽 상황이 어떨지 몰라서 중단한 상품이라 그러더라고요.

    ◇ 김현정> 이 상품을 판 곳은 우리은행과 하나은행 두 곳뿐이죠?

    ◆ 피해자> 독일 국채로만 한 건 우리은행만이에요.

    ◇ 김현정> 독일 국채로만 한 곳은 우리은행. 유사한 (해외금리 연동형) 상품을 판 곳은 우리은행, 하나은행. 알겠습니다. 중간에 찾아갔을 때도 그만두라는, 그러니까 팔라는 조언은 없었고 알아서 하라고만 했다.

    ◆ 피해자> 네. 그리고 7% 수수료만 이야기하고. 계속 그걸 제가 책임져야 한다는 얘기를.

    ◇ 김현정> 중도 환매 수수료 7%라는 것만 이야기를 했다. 투자자님, 처음에 계약하실 때 이게 ‘독일이 망하지만 않으면 문제 없습니다’ 라고만 얘기한 거예요 아니면 원금 손실도 발생할 수 있고 원금이 제로가 될 수 있다는 상황까지도 알린 거예요, 은행에서?

    ◆ 피해자> 안 알렸죠.

    ◇ 김현정> 그 얘기를 안 했어요?

     

    ◆ 피해자> 네, 원금 손실이 있다면 누가 투자를 하겠어요. 그러니까 예를 들면 이런 식이에요. 이렇게 상품 구조가 돼 있지만 -0.19 미만으로는 10년 이상 내려간 적이 없어서 이 부분은 전혀 신경 안 써도 된다고. 이건 그냥 그런 거니까 이건 전혀 신경 안 쓰고 11월 11일 만기날 오시면 그냥 원금 플러스 이자 드리니까 진짜 이거 통장 가져가서 집에다 딱 놓으시고 그날 오시면 됩니다라고 얘기했어요.

    ◇ 김현정> 사실 투자를 할 때는 최종 책임은 투자자가 지는 거 맞습니다. 하지만 그 전제 조건이 있죠. 판매자가 충분히 정확한 정보를 줄 것. 요즘은 워낙 복잡한 금융 상품이 많기 때문에 제대로 설명하고 판매할 의무가 판매자에게 지워져 있는 건데 그 부분이 충족됐느냐 하는 것이 중요한 상황인데 원금 손실에 대해서는 언급도 하지 않았다?

    ◆ 피해자> 네.

    ◇ 김현정> 계약서 같은 거 꼼꼼히 안 보셨어요?

    ◆ 피해자> 계약서랑 상품 설명서를 안 줬어요. 그래서 이번 일 터지고 가서 저희 계약서를 달라 했어요. 그런데 저뿐만 아니라 다른 분들도 다 안 받았어요.

    ◇ 김현정> 아니, 사인은 하셨어요, 계약서에?

    ◆ 피해자> 이번에 당한 분들의 공통점은, 은행 가서 적금을 들거나 뭐를 들 때 (은행 직원이) ‘사모님 여기다 사인하세요’ 해가지고 동그라미 쳐주는 거.

    ◇ 김현정> 여기, 여기, 여기 하라고 동그라미 쳐주죠.

    ◆ 피해자> 거기다가 저희 이름을 쓰는 거잖아요. 그러니까 이건 그런 상품이라고 설명을 들었기 때문에 아무런 의심 없이 그렇게 사인만 한 거예요.

    ◇ 김현정> 그렇군요. 물론 그렇게 여기, 여기, 여기, 여기 사인하십시오라고 동그라미만 쳐줬어도 투자자가 다 읽어봤어야 하지 않습니까 라고 하면 그 부분에 대해서는 일정 부분 책임이 있겠습니다마는 은행이니까 그냥 일단 믿으셨던 거군요.

    ◆ 피해자> 그냥 은행을 믿는 거예요. 왜냐하면 우리나라 대표 은행인 데다가 보통 우리가 생각할 때 은행은 안전 자산을 보관하는 장소라고 생각하지 은행에서 이런 사기가 일어난다는 생각은 아무도 안 하잖아요.

    ◇ 김현정> 은행을 믿고 사인하셨다는 말씀이에요.

    ◆ 피해자> 네.

    ◇ 김현정> 게다가 나중에 계약서 받고 나서 확인해 보니까 운용 상황에 대해서 알림을 받지 않겠다라는 곳에 체크가 되어 있었다고요?

    ◆ 피해자> 다들 운용 보고서에 수령 신청에 ‘거절’.

    ◇ 김현정> 알림 거절?

    ◆ 피해자> 이메일 장부 통보서에 ‘거절’ 이렇게 표시가 돼 있더라고요.

    ◇ 김현정> 누가 체크한 겁니까?

    ◆ 피해자> 직원이죠. 왜냐하면 글씨체가 다 똑같아요.

    ◇ 김현정> 똑같아요. ‘알림 받지 않겠다’ 에 체크돼 있고 또 보면 투자 성향 이런 거 체크하는 란도 있잖아요.

    ◆ 피해자> 그러니까 그 투자 성향도 다 직원이 하셨어요.

    ◇ 김현정> 공격적 성향에다가 체크?

    ◆ 피해자> 네, 공격적. 다 2로 111. 1이 3개면 모두 다 공격형 투자형인데 너무 웃긴 건 저는 총점이 95점 나왔는데 똑같은 그것에 표시했는데 어느 분은 100점, 어느 분은 96점, 어느 분은 93점 되어 있더라고요.

    ◇ 김현정> 아까 설명할 때 소심한 분들에게 안성맞춤이라고 설명했다면서요?

    ◆ 피해자> 네.

    ◇ 김현정> 그런데 투자 성향에는 공격적 성향으로 체크가 돼 있다면 이건 앞뒤가 안 맞는 거 아닙니까? 게다가 그것도 투자자가 직접 하신 게 아니라 직원이 지금 한 걸로 의심이 되고.

    ◆ 피해자> 의심이 아니라 사실이에요.

    ◇ 김현정> 세상에. 피해자분들 중에 고령인 분들이 상당히 많다면서요?

    ◆ 피해자> 네, 그 담당 PB가 한 말 중에 사실인 건 그거예요. 저희 지점에는 고령인이 많다. 50대 후반인데 저보다 다들 연세가 더 많으세요. 일각에서는 (투자자들더러) VIP라는데 저는 그 은행 VIP 아니고 이 상품 투자하면서 처음으로 VIP실이라는 걸 가봤어요. 그러니까 일각에서 말하는 VIP 고객 전혀 아닌 사람이 너무 많고 어느 분은 어머니를 모시고 왔어요. 어머니가 80대이신데 머리 하얘갖고 부들부들 떠시는데 어제 저희가 만났는데 쓰러지실 것 같더라고요, 너무 스트레스 받으셔서.

    ◇ 김현정> 알겠습니다. 어려운 상황인데 인터뷰 응해 주셔서 감사드리고요. 고맙습니다.

    ◆ 피해자> 네, 감사합니다.

    ◇ 김현정> DLS 투자자 한 분을 만났습니다. 이분은 2억 원의 원금을 한 푼도 건지지 못한, 원금을 전체를 손실 본 분인데, 지금 이런 분이 많다는 거예요. 금감원에서는 해당 DLS 상품에 대한 합동 검사를 추진한다고 입장을 밝혔습니다. 그 결과를 좀 지켜보도록 하죠. (속기=한국스마트속기협회)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