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한국 인터넷 30년…초고속 압축성장 닯은꼴



IT/과학

    한국 인터넷 30년…초고속 압축성장 닯은꼴

    이용자수 3701만명…글로벌 경쟁력 가진 인터넷 기업 없고 기술역량 취약

     

    1982년 5월 서울대 컴퓨터공학과와 경북 구미의 전자기술연구소(KIET)에서 동시에 환호성이 터져나왔다.

    ''한국 인터넷의 아버지''로 불리는 전길남 카이스트 명예교수가 두 곳의 중형 컴퓨터에 IP주소를 할당해 패킷 방식으로 인터넷을 연결한 것이다.

    국내 최초이자 아시아에서도 패킷교환 방식(TCP/IP)으로는 첫 사례였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이를 기념해 30일 세종문화회관에서 ''''대한민국 인터넷 30주년 기념식''''을 연다.

    물론 1969년 9월 알파넷을 통해 세계 최초로 인터넷 연결에 성공한 미국보다는 약 13년이나 늦은 출발이었다.

    하지만 결과는 창대했다. 1994년 인터넷 상용 서비스를 시작으로 2002년에는 초고속 인터넷 1000만 가구 시대를 열었고 2006년에는 세계 최초로 WiBro, HSDPA를 상용화하는 인터넷 분야의 ''''리더''''로 떠올랐다.

    최근 보스턴컨설팅에 따르면 2010년 한국의 인터넷 경제 규모는 86조원, 국내총생산(GDP) 대비 비중은 7%로 세계 최상위권에 도달했다.

    2000년과 2010년에 이르는 최근 10년만 보더라도 눈부신 변화의 속도를 체감할 수 있다.

    인터넷 사용자 수는 1904만명에서 3701만명으로 2배 가까이 증가했고, 사용자의 평균 연령은 26.3세에서 32.3세로 6세 증가했다.

    1주당 평균 이용시간은 11.7시간에서 14.7시간으로 3시간 증가했고, 이메일 이용률(9.2%P)이나 인터넷쇼핑 이용률(52%P), 가정에서의 인터넷 이용자(49.7%P) 등도 큰 폭으로 늘어났다.

    이처럼 인터넷이 생활 곳곳에 파고들면서 사회 전반의 패러다임을 바꿔놓았고, 최근에는 스마트폰 혁명으로 이어지면서 무선 인터넷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열풍을 낳고 있다.

    미래의 인터넷은 TV뿐만 아니라 자동차나 냉장고, 세탁기 등 모든 가전제품이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사물 인터넷'''' 세상과 클라우드 환경으로 바뀔 것이란 예상이다.

    하지만 여기에 IT 강국 대한민국의 도전 과제가 주어진다.

    무선인터넷과 사물인터넷의 등장으로 인한 트래픽 급증과 인터넷의 이동성 및 보안성 등이 문제가 되면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미래기술 연구가 관건이 된 것이다. [BestNocut_R]

    우리나라의 경우 인터넷 최강국의 지위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가진 인터넷 기업이 없고 기술역량도 취약하다는 ''''외화내빈''''의 측면이 있다.

    앞으로의 대응여하에 따라 어렵게 쌓아올린 네트워크 강국의 지위를 잃고 인터넷 소비국으로 전락하느냐, 아니면 다시 미래 인터넷 리더로 도약하느냐의 갈림길에 서있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