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이형일 차관 "IMD 순위 7계단 하락…국가경쟁력 강화 계기 삼아야"

이형일 차관 "IMD 순위 7계단 하락…국가경쟁력 강화 계기 삼아야"

"국가경쟁력 제고 정책, 속도감 있게 추진…범부처 공동 국가경쟁력 강화에 총력"

이형일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 1차관이 27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가경쟁력 정책협의회'를 주재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이형일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 1차관이 27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가경쟁력 정책협의회'를 주재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기획재정부 이형일 장관 직무대행 1차관은 2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부처와 민간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국가경쟁력 정책협의회'를 주재했다.

이날 회의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법무부, 문화체육관광부, 산업통상자원부, 고용노동부, 중소벤처기업부, 국정조정실, 금융위원회, 권익위원회,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산업연구원 관계자 등도 참석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2025년 IMD 국가경쟁력 평가 결과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향후 국가경쟁력 제고 방향을 논의했다.

지난 16일 발표된 IMD 평가에서 한국은 지난해보다 7계단 떨어진, 69개국 중 27위를 기록했다.

이 직무대행은 "한 나라의 국가경쟁력을 특정 기관의 지표만으로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데는 한계가 있겠지만, IMD가 지적한 우리 경제의 취약 부분을 면밀히 점검·분석해서 국가경쟁력 강화의 계기로 삼을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이를 위해 "디지털 시대 전환과 기술 급변 시대에 혁신기업이 출현하기 위해 낡고 분절된 행정규제의 합리화를 적극 추진해 나가겠다"며 각 부처에도 "기업인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고 정부입장을 충실히 설명할 수 있는 기회를 늘리되, 민원처리가 적절하고 신속히 이루어지도록 신경써주시길 당부한다"고 말했다.

경쟁력 강화를 위한 산업 정책에 대해서는 "AI 대전환(AI Transformation)을 위한 혁신 생태계를 구축하고 AI 인재 양성 체계를 마련하며, 우리의 강점인 제조업과의 시너지 창출을 위해 노력하겠다"며 "관광수입, 외국인 직접투자 등 취약항목 개선을 위해 관광산업을 국가수출산업으로 육성하고 문화콘텐츠의 국가 지원 체계를 확대하고, K-컬쳐의 세계 진출을 뒷받침하여 이를 국가 홍보 전략과 체계적으로 연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또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과학기술 혁신을 이끌 청년 과학기술인력에 대한 지원을 대폭 확대하고 과학기술인이 연구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며 "국가 핵심인프라 및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사이버 보안을 강화하고, 범정부 차원의 사이버 보안 대응체계를 구축하여 사이버 위협으로부터 안전한 나라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이 직무대행은 "이들 정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고, 향후 국가경쟁력 정책협의회 등을 통해 범부처 공동으로 국가경쟁력 강화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