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권교체에도 유일하게 장관직이 유임돼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25일 국회 농해수위 전체회의에 출석해 의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황진환 기자윤석열 정부에서 임명됐으나 최근 유임된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25일 양곡관리법 개정안 등 농업 4법을 두고 '농망법(農亡法·농업을 망치는 법)'이라고 표현한 데 대해 공식 사과했다.
송 장관은 이날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님들이나 특히 농업인들께서 상당히 마음 아프게 느끼셨을 것"이라며 "그렇지만 저 나름으로는 그렇게 가는 것이 부작용을 낼 수 있는 측면이 있기 때문에 재고하자는 취지의 절실한 표현이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절실함이 거친 표현으로 된 데 대해 사과 말씀드린다"고 밝혔다.
송 장관은 정권 교체와 맞물려 법안에 대한 입장을 번복한 게 아니냐는 지적과 관련, "우리 농업·농촌의 지속 가능성, 국민 입장에서 가장 좋은 대안을 찾아보자는 게 제 일관된 기준이었다"고 언급했다.
또 "그 일을 계속할 수 있겠느냐는 측면에서는 개선할 점이 있다는 취지의 이야기를 드렸고,
농가의 경영·소득 안정이 기본이 돼야 먹거리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는 법률안 제안 취지에 동의하지 않은 적이 없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유연한 실용주의와 국가 책임의 농정, 국민 먹거리 제공 등이 큰 틀의 방향이라 생각하고, 현 정부의 국정 철학에 맞춰 그간 쟁점이 된 법안·정책을 전향적으로 재검토하겠다고 강조했다.
앞서 송 장관은 전임 정부에서 남는 쌀 의무 매입을 골자로 한 양곡법 개정안과 농산물 최저가격 보장제 도입을 담은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농안법)·농어업재해보험법·농어업재해대책법 개정안 등 농업 4법에 반대하며 대통령의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를 건의한 바 있다.
송 장관은 이날 국민의힘 김선교 의원이 "농망법이 희망법으로 바뀌나"라고 묻자,
"희망법으로 만들겠다"고 답변했다.
이어 "현장 농업인들이나 의원님들이 생각하는 것에 맞춰 더 훌륭한 대안이 나올 수 있도록, 그래서 우리 농업의 미래가 희망으로 가득 찰 수 있는 법을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재명 대통령이 내각 인선을 발표하며 자신을 유임시킨 데 대해서는 "엄중한 시기에 이런 큰 책임을 맡겨 주신 데 대해 감사한 마음도 있고, 굉장히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며 "농업인 단체들과 지속적으로 소통하겠다"고 했다.
진보당 전종덕 의원은 이 자리에서 송 장관에게 자진 사퇴를 재차 요구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