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국방/외교

    "우크라이나식 광물협정으로 북미관계 개선 가능"

    핵심요약

    임을출 교수, '북미간 경제-안보 패키지 합의 위한 5개 조건' 제안
    "트럼프 실용주의 외교, 김정은 민생개선 수요 결합해 비핵화협상 돌파구"
    비핵화 유연성, 제재 완화, 경제적 유인, 신뢰구축, 기술적 가능성 등 거론

    연합뉴스연합뉴스
    미국이 우크라이나와 맺은 광물협정 사례 등을 북미관계에 원용해 안보와 경제 이익을 공유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지난 20일 공개한 '북미 간 경제-안보 패키지 합의를 위한 다섯 가지 조건'이란 제목의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북한과 미국 간 경제-안보 패키지 합의는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실용주의적 외교 스타일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경제발전 및 민생개선 수요를 결합해 비핵화 협상의 돌파구를 열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물론 현 단계에서 북한의 핵보유국가 입장 고수, 북러 간 군사동맹 강화,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기술적 제약 등이 주요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어 낙관하기는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그럼에도 트럼프 대통령의 대 이란, 리비아, 시리아 정책과 우크라이나와의 광물협정 사례는 북미관계에도 적지 않은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고 짚었다. 
     
    보고서는 북미 경제-안보 패키지 합의의 5개 조건으로 △비핵화 유연성 △대북제재 완화 △광물협정과 같은 경제적 유인 △신뢰 구축 △기술적 실행가능성을 들었다.
     
    비핵화 유연성은 완전한 비핵화를 협상의 전제조건으로 엄격하게 연계하기 보다는 핵동결 같은 단계적 조치와 경제적 실익을 교환하는 유연한 접근으로 규정됐다.
     
    경제적 유인은 북한 내 희토류 등 핵심 광물개발과 그에 따른 부수적인 관광협력 등이 있으며, 미‧우크라이나 광물협정을 참고해 향후 예상 가능한 3차 북미정상회담의 의제로 추진할 것이 제안됐다. 
     
    임 교수는 "중동 평화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종전협상이 진전되면 다음 이슈는 북한과 미국간 핵협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과감한 실용주의 외교가 중동지역을 넘어 북한으로 확장하려면, 하노이 실패 교훈을 바탕으로 신뢰 조성과 실질적 경제협력에 초점을 맞춘 단계적 접근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