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이미지 제공한국 반도체 산업이 중국에 대부분 추월당했다는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기초·원천 연구 및 설계 기술 분야에서 2년 만에 중국에 밀리며 향후 경쟁력 약화가 우려된다는 분석이 나온다.
23일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이 발간한 '3대 게임체인저 분야 기술수준 심층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전문가 39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한국의 반도체 기초역량이 대부분의 분야에서 중국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한국 반도체 기술이 전통적으로 강세였던 메모리 반도체에서도 중국이 빠르게 따라잡고 있으며,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서는 이미 경쟁력을 상당 부분 상실했다"고 지적했다.
설문 참여 전문가들은 앞서 2022년 진행한 기술수준평가 당시 고집적·저항기반 메모리기술, 반도체 첨단 패키징기술, 차세대 고성능 센싱기술 등은 앞서 있다고 봤는데, 2년 만에 뒤집힌 것으로 평가한 것이다.
반도체 기초, 설계 기술 모두 중국이 앞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3대 게임체인저 분야 기술수준 심층분석' 보고서 캡처보고서에 따르면, 최고 기술 선도국을 100%로 놓고 평가했을 때 한국은 대부분의 반도체 핵심 기술에서 중국에 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집적·저항기반 메모리 기술 분야에서 한국이 90.9%로 94.1%인 중국에 밀렸다. 고성능·저전력 인공지능 반도체 기술에서도 한국(84.1%)은 중국(88.3%)에 뒤졌다.
전력반도체 기술에서 한국이 67.5%로 중국(79.8%)보다 후퇴했고, 차세대 고성능 센싱 기술 역시 한국(81.3%)이 중국(83.9%)에 뒤쳐졌다.
여기에 반도체 기초·원천 연구(한국 78.8%, 중국 81.1%)와 설계 기술(한국 79.4%, 중국 80.2%)도 중국이 앞선 것으로 평가되면서 한국 반도체의 근본적인 경쟁력 저하가 우려된다.
반도체 첨단 패키징 기술 분야는 한국과 중국 모두 74.2%로 비슷했다.
반면, 공정 기술(한국 86.9%, 중국 81.0%)과 양산 기술(한국 87.0%, 중국 81.2%)에서는 한국이 여전히 우위를 유지하고 있지만 대만(92.4%)과 미국(93.5%)에 비하면 순위가 밀린 상태다.
미국 '시스템 반도체', 대만 '패키징 기술' 1등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3대 게임체인저 분야 기술수준 심층분석' 보고서 캡처미국은 반도체 전체 시장 점유율 50.2%로 1위를 기록했다. 시스템 반도체 및 EDA(전자설계자동화) 기술에서 절대적 강자 위치에 있었다.
대만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시장 점유율 70% 이상(TSMC 64.9%)으로 이 분야 세계 1위를 기록하고 있었다. 첨단 패키징 기술도 가장 앞섰다.
한국은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 9.3%로 대만에 크게 밀렸다. 반도체 첨단 패키징 기술도 대만, 미국, 일본에 이어 4위 위치에 있다.
보고서는 "한국은 메모리 반도체 중심 산업 구조를 유지하고 있지만, 시스템 반도체 시장이 메모리 시장의 두 배 이상으로 성장하는 상황에서 이대로 가면 격차는 더욱 벌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R&D 확대, 반도체 인재 대우 개선 필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3대 게임체인저 분야 기술수준 심층분석' 보고서 캡처보고서는 한국 반도체 산업이 기초 연구 및 설계 역량을 강화하고, 시스템 반도체 및 첨단 패키징 기술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한 핵심 전략으로 기초 연구 및 설계 기술을 강화해야한다고 지적했다. 현재 한국의 반도체 R&D 투자 비율(매출 대비 9.5%)이 미국(19.5%)의 절반 수준에 불과한 만큼, 연구개발 투자 확대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첨단 패키징 기술을 확보해야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현재 한국이 대만, 미국, 일본에 밀려 4위로 크게 뒤쳐진 상황에서 패키징 생태계를 조성하고 연구개발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반도체 핵심 인력이 해외로 유출되는 문제도 지적됐다. 핵심 인재의 연봉·복지 개선 및 해외 인력 유치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공정 및 양산 기술 격차 해소를 위해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경쟁력을 강화하고, 특히 대만 TSMC와의 격차를 줄이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는 분석도 나왔다.
전문가들은 "중국이 빠른 속도로 반도체 산업에 투자하고 있고 대만·미국과의 기술 격차도 점점 벌어지고 있다"며 "한국이 반도체 강국으로 재도약하기 위해서는 기초 연구, 설계, 패키징 기술까지 전반적인 생태계를 강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