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단체 낙동강 녹조 현장 조사. 연합뉴스낙동강 인근 주민 등의 콧속에서 녹조 독성물질(조류독소)이 검출됐다는 환경단체의 주장과 관련해 환경부가 제안한 민관학(민간·정부·학계) 공동조사가 본격화한다.
환경부 관계자는 11일 "다음 주 환경단체 측과 상견례 겸 만나 조사방법 등을 논의하고 녹조가 심해지는 8월 무렵 조사를 실시해 연말쯤 결과를 도출하는 일정을 잡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낙동강네트워크와 환경운동연합 등은 부산에서 경북까지 낙동강 주변에 사는 주민과 낙동강 유역에서 다양한 활동을 한 97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8월 20일부터 9월 12일까지 녹조 독소의 인체 유입 현황을 조사한 결과 2명 중 1명꼴인 46명(47.4%)의 콧속에서 녹조 독성물질인 마이크로시스틴(Microcystin)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지난해 10월 주민 22명 중 절반인 11명의 콧속에서 녹조 독소 유전자가 검출됐다는 1차 조사 결과 공개에 이어, 이달 3일 최종 검사 결과를 발표한 것이다.
환경부는 그간(2022~2024년) '공기중 조류독소' 조사를 실시했지만 검출된 적 없다는 설명이다. '비강내 조류독소'의 경우 △공기 중 조류독소를 흡입하거나 △수영과 보트 등 친수활동을 통한 유입을 고려해볼 수 있겠지만, 아직까지 조사를 진행한 바는 없다.
환경부 관계자는 "이번에 환경단체 발표가 있었기에 민관학 공동조사를 환경단체에 제안할 계획"이라며 "검출 여부도 중요하지만, 검출된다면 건강에 미치는 영향 여부도 중요할 것 같다"고 향후 조사 진행 방향을 설명했다.
이에 따라 조사 대상은 △공기 중 조류독소 여부 △비강내 조류독소 검출 여부 △인체 유해성 조사가 동시에 이뤄질 전망이다. 이 관계자는 "콧속에 (조류독소가) 있는지도 조사하고, 그다음에 위해성 평가도 하겠다"고 부연했다.
낙동강 녹조 문제는 이명박 정부 시절인 2008~2012년 추진된 4대강 사업(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을 중심으로 총 16개의 보를 설치) 이후 강물 흐름이 막히면서심화했다는 게 환경단체의 입장이다. 다만 국립환경과학원은 보 건설 전에도 녹조 현상이 있었다고 반박한 바 있다.